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한국연구재단 로고
ⓒ 한국연구재단 유튜브 채널 캡처


한국연구재단은 국내 학술·기초연구 지원의 핵심 축으로, 매년 5조 원대 연구비를 집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디지털 전환·연구윤리·정책 투명성 이슈가 맞물리며 재단의 역할이 더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교육부가 추진하는 국가 R&D 체계 개편과 맞물려 ‘연구자의 자유로운 탐구’‘성과 평가의 공정성’ 사이 균형이 중요해졌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사업 구조를 손질하며 연구자 친화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최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제기된 ‘상임감사의 사찰성 감사’ 논란이 재단에 커다란 숙제를 남겼습니다. 야당 의원들은 “인사 정보를 상시 열람해 연구자 내부 동향까지 살핀 것 아니냐”라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이에 대해 재단 측은 “정상적인 감사 활동”이라고 해명했으나, 연구자 자율성 침해 우려가 확산됐습니다. 재단은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내·외부 전문가 참여형 감사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구자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존재 이유입니다.” – 이광복 이사장

재단은 논란 진화와 별개로 올해 ‘인문사회 학술지원 사업’ 신규 과제 49건을 선정했습니다. 이는 문화다양성·초국경 역사·AI 윤리 등 시대 의제와 밀접한 주제를 포함해 학계 호응을 얻었습니다.

또한 전국 5개 권역에서 ‘연구윤리 현장 투어’를 진행하며 표절·인용 부정 방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프로그램은 대학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열려, 현장의 목소리가 곧바로 정책에 반영될 예정입니다.

국회 과방위 현장
ⓒ 조선일보 갈무리

연구비 집행 투명성도 강화됩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올해 하반기부터 블록체인 기반 전자증빙 시스템을 시범 도입해 연구비 부정사용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입니다.

연구 현장에서는 디지털 R&D 포털 통합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재단은 현재 KRI(Korea Researcher Information)·학술지인용색인 KCI 등을 한 플랫폼으로 묶어 2026년 오픈을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변화를 통해 연구 데이터 개방지식 순환 생태계가 자리 잡으면, 국내 연구 경쟁력은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문가들은 “재단이 공정성과 혁신이라는 두 축을 함께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산업계 역시 주목합니다. 바이오 전문 포털 BioIN은 “한국연구재단 지원 과제 덕분에 국내 유전자 치료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향후 과제는 국제 공조입니다. 재단은 EU·미국 연구기관과 MOA를 확대해 국제 공동연구 펀드를 2027년 5,000억 원까지 늘리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습니다.

마지막으로 2030 연구·인재 중장기 로드맵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재단 관계자는 “차세대 연구 리더 3만 명을 양성해 세계 10위권 기초연구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끊임없는 혁신 속에서 한국연구재단‘연구자 중심’이라는 초심을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한 연구 생태계가 곧 국가경쟁력의 토대가 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