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전통 다다미방 모습사진=Unsplash, CC0

한남동 관저에 설치된 다다미방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시공사 21그램 김태영 대표가 “2층에 다다미를 깔았다”고 증언하면서 논쟁이 본격화됐습니다.


다다미방은 일본 전통 바닥재 ‘다다미(畳)’를 사용한 공간입니다.

국내 주택에선 흔치 않지만 차분한 분위기와 천연 소재가 주는 편안함 덕분에 소수 매니어층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었습니다.


“대통령 관저에 일본식 방을 만드는 것이 적절한가.” —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

야당은 문화적 부적절성예산 투명성을 동시에 문제 삼았습니다.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사적 공간의 인테리어까지 정치 쟁점화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반론도 나옵니다.


정가의 공방 속에서도 히노키탕·다다미방·정원 조성 비용8억~10억 원가량으로 추정된다는 발언이 나오며 세금 사용처 논란이 재점화됐습니다.

감사원은 “1차 감사 과정에서 세부 내역을 모두 확인했다”면서도 보고서 누락 의혹을 해명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일본 건축사 최현욱 교수는 “다다미방은 한국식 온돌 구조와 공학적으로 상충할 수 있어 시공 전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실제로 한남동 관저는 목구조 보강습도 조절 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인테리어 업계는 “이슈 이후 다다미 자재 문의가 30% 이상 증가했다”며 의외의 반사효과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국풍(國風)보다 편안함이 우선”이라는 의견과 “외교 분위기에 역행한다”는 비판이 엇갈립니다.


“다다미방이든 한옥방이든, 핵심은 혈세 사용 기준의 명확성입니다.” — 시민단체 ‘예산감시연대’

전문가들은 예산·절차·문화적 민감성을 모두 점검하는 ‘3중 투명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제안합니다.

정부 관계자는 “향후 대통령 관저 이전·보수 시 문화재청 및 외부 전문가 자문 절차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다다미방 논란은 단순 인테리어를 넘어 국가 리더의 취향, 외교 감수성, 세금 집행 투명성까지 아우르는 복합 이슈로 번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의 공방이 이어지는 사이, 일상 속 주거 문화와 공공 예산의 접점에 대한 사회적 성찰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후속 감사 결과정책 개선 논의를 지속 추적해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