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라이브이슈KR 단독핵심 키워드: 한동훈, 전당대회 불출마, 국민의힘, 보수 재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24일 오전 SNS를 통해 8·22 국민의힘 전당대회 불출마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❷ 그는 “극우화 퇴행 움직임이 커졌다”며, 당권 경쟁 대신 현장 혁신에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동훈 전 대표

이미지 출처 : 조선일보 캡처


배경입니다. 올 6월부터 당 안팎에서는 “한동훈 당권 도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여론조사마다 ‘차기 당 대표 적합도’ 1위를 기록하면서 기대감이 컸습니다.

※ 한국갤럽 7월 2주차 : 한동훈 28.4 % > 김문수 12.1 % (표본오차 ±3.1 %p)


하지만 한동훈은 ‘당 안의 기득권 다툼’·‘혁신 저항’·‘극우화 시도’ 등을 불출마 이유로 직설적으로 언급했습니다.

“당원의 이름으로 포장된 기득권 다툼은 국민을 실망시킬 뿐입니다.” – 한동훈 SNS 중

❺ 정치권 해석은 두 갈래입니다. 하나는 “책임총량제 논리상 총선 패배 책임이 큰 탓”이라는 시각, 다른 하나는 “보수 외연 확장 전략을 위한 장기 포석”이라는 분석입니다.


당내 반응도 엇갈립니다. 혁신위원 측은 “쇄신 동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했고, 친윤계 일각은 “당 분열 가능성이 줄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경쟁 주자인 김문수 전 지사·장동혁 의원·주진우 의원 등은 즉각 “정정당당한 경선을 이어가겠다”는 메시지를 냈습니다.

국민의힘 로고

이미지 출처 : 조선일보 캡처


관전 포인트는 세 가지입니다.

  • 친윤 vs 탈윤 구도가 약화되며 중도‧청년 표심 경쟁이 본격화될지
  • ② 비윤·수도권 의원들의 ‘제3후보 단일화’ 가능성
  • 한동훈총선 전략가 또는 서울시장 카드 차출설 재부상

❾ 전문가들은 “불출마 결정이 오히려 정치적 레버리지를 키우는 효과”라고 분석합니다.

“총선 공천·대통령실 개편·중도 스윙층 확보 등 모든 변수에서 선택지가 넓어졌다.” – 정치컨설턴트 박OO


❿ ‘한동훈 효과’가 사라진 전당대회는 투표율·미디어 주목도 모두 급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컷오프 룰·여론조사 반영 비율도 재조정될 전망입니다.

⓫ 반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진정성 있는 결단”이라는 긍정 여론과 “대선 직행용 계산”이라는 비판 여론이 공존합니다.


법조·교육 이슈도 주목됩니다. 최근 딸 모욕 사건 1심 벌금형, 사법연수원 동기 인맥론 등으로 가족·사생활 논란이 재부상했는데, 불출마로 ‘정치적 방어막’이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⓭ 한편, 야권은 “보수 분열 자초”라며 공세를 강화할 태세입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쇄신 쇼에 불과하다”는 논평을 냈습니다.


앞으로의 시나리오

  1. 킹메이커 역할 : 전략공천·선대위 총괄 등 ‘그림자 당 대표’ 가능성
  2. 정책 플랫폼 구축 : 청년·중도 연계 싱크탱크 설립 예정?
  3. 지방선거·대선 직행 : 2026년 서울시장 → 2027년 대선 잠룡 플랜

결론입니다. 한동훈의 전격 불출마는 단순한 한 인사의 선택을 넘어, 국민의힘의 체질·보수 정치 생태계 전반을 시험하는 변곡점이 되고 있습니다. “보수 혁신 vs 극우 퇴행”이라는 프레임 속에서, 향후 몇 주간 펼쳐질 전당대회 레이스가 한국 정치 지형을 어떻게 바꿀지 주목됩니다. 🔍

ⓒ 2025 라이브이슈KR |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