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안전부는 2025년 하반기 정책 방향으로 재난 대응 고도화, 민생 회복 지원, 디지털 정부 혁신을 3대 축으로 제시했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공식 누리집
첫 번째 과제는 재난 안전망 강화입니다. 폭우·지진·폭염 등 기후위기형 복합재난이 일상화되면서, 행정안전부는 AI‧빅데이터 기반 위험 예측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재난안전포털(safekorea.go.kr)을 중심으로 실시간 위험 알림을 확대해, 전 국민이 휴대전화로 30초 이내 경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재난 발생 전에 위험을 알려야 진짜 선진국 안전체계가 완성됩니다.” — 김주영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
두 번째 과제는 민생 회복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기획재정부·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7월 22일부터 순차 지급했습니다.
소비쿠폰은 삼성카드·롯데카드·우리카드·페이북 등 8개 결제수단으로 신청 가능하며, 요일제와 출생연도 5부제를 병행해 초기 혼잡을 최소화했습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소비쿠폰 사용방법을 국민신문고 FAQ와 SNS 카드뉴스로 안내해 체감도를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페이스북
세 번째 과제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안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처를 은행·병원·렌터카 업체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전자증명서 100종 시대’를 열어 주민들이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고도 90% 이상의 서류를 휴대전화에서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행정안전부 산하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세종·과천 청사에 5G 기반 스마트 오피스를 구축해 공공기관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개방형 데이터 거버넌스를 통해 오픈AI·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과 협력, 공공 데이터를 민간 AI 학습용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행정안전부 고위 관계자는 “국민체감형 마이데이터 행정을 구현해 서류 없는 원스톱 서비스를 실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정책브리핑
이 밖에도 행정안전부는 지방재정분권을 강화해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복지·산업 정책을 설계하도록 예산 자율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지방교부세 산정방식이 개편돼 인구 감소 지역과 재정 열악 지자체에 대한 지원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함께 만드는 안전사회”를 비전으로, 2025년까지 재난 사망자 30% 감축과 행정 서비스 만족도 95%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요약 ☞ 행정안전부는 재난 대응·민생 지원·디지털 혁신을 통해 국민 안전과 삶의 질을 동시 개선하고자 지속적으로 정책을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 관련 키워드: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민생회복 소비쿠폰, 디지털 플랫폼 정부, 모바일 주민등록증, 지방재정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