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헌법재판소, 손준성 검사장 탄핵소추 기각

17일 오후 2시, 헌법재판소가 손준성 대구고검 차장검사(검사장)에 대한 탄핵소추를 만장일치로 기각했습니다. 고발사주 의혹으로 촉발된 정치‧법조 논란이 헌정 사상 네 번째 검찰 간부 탄핵 심판에서 일단락됐습니다.

헌재 선고 직후 모습
▲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 JoongAng Ilbo

1️⃣ 사건 개요

2020년 21대 총선을 앞두고 범여권 인사 고발장 초안을 야당에 전달했다는 고발사주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당시 대검 범죄정보기획관이던 손준성 검사장은 “고발을 사주한 사실이 없다“고 전면 부인했습니다.

2️⃣ 국회의 탄핵소추

2023년 12월 국회는 검사로서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을 근거로 탄핵소추안을 가결했습니다. 이는 고위 법무·검찰 간부에 대한 첫 탄핵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았습니다.

3️⃣ 형사재판과 무죄 확정

형사부문에서는 2025년 4월 대법원이 무죄를 확정했습니다. 재판부는 “직접 개입 여부가 합리적 의심 없이 증명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4️⃣ 헌재 결정문 핵심

“손 검사장이 일부 헌법·법률을 위반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파면에 이를 정도의 중대한 위헌행위는 아니다.” — 헌법재판소 선고 요지

재판관 7인은 공무원 공익 실현 의무 침해를 일부 인정했으나, 직 파면까지는 과도하다고 결론냈습니다.

5️⃣ 법적·정치적 의미

탄핵소추 기각은 곧 직무 복귀를 뜻합니다. 검찰 인사 지형이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으며, 정치권 공방은 한층 가열될 전망입니다.

손준성 검사장 변론 출석 장면
▲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 Yonhap News

6️⃣ 검찰 내부 반응

익명을 요청한 한 검찰 간부는 “검사의 정치적 중립 논란이 다시 불붙을 것”이라며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7️⃣ 여야 공방

여당은 “사법 시스템을 통한 진실 규명”을 강조했고, 야당은 “제도적 미비로 인한 면죄부“라며 특검 카드까지 거론했습니다.

8️⃣ 전문가 시각

헌법학자 A교수는 “탄핵소추 요건형사책임 기준 차이를 국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9️⃣ 향후 절차

검찰총장은 조만간 손 검사장을 원직 복귀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후속 인사에서 이미 이동된 보직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핵심 키워드 정리

  • 손준성‧탄핵소추‧기각
  • 고발사주 의혹
  • 헌법재판소 결정
  • 검사의 정치적 중립
  • 형사재판 무죄

🔮 전망과 과제

사법 리스크는 일단락됐으나, 검찰 개혁정치 관여 방지 장치 마련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습니다.

✍️ 결론

이번 손준성 탄핵소추 기각 결정은 헌법적 통제와 형사책임 사이의 미세한 경계를 보여줬습니다. 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사건의 귀결을 넘어 제도 개선투명성 강화 노력이 병행돼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