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요버스 갑질 논란이 국내 게임·문화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플로로 성우의 개인 방송 폭로를 기점으로 ‘성우 인권’과 ‘글로벌 게임사의 하청 구조’를 한꺼번에 조명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호요버스(HoYoverse)는 ‘원신’, ‘붕괴: 스타레일’, ‘젠레스 존 제로’ 등으로 잘 알려진 중국계 게임사입니다. 한국 지사와 더빙 전담 외주 스튜디오를 통해 현지 서비스를 운영해 왔으나, ‘호요버스 갑질’ 키워드가 폭발적으로 검색되며 브랜드 이미지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출처: STN SPORTS 보도화면 캡처
논란의 핵심은 디렉터로 지목된 한국 하청업체 관계자가 성우들에게 폭언·인신공격·일방적 스케줄 변경을 일삼았다는 주장입니다. 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은 ‘재녹음’ 요구와 출연료 미지급 의혹까지 더해지며 파문이 확산됐습니다.
“녹음실에서 ‘당신 목소리는 주연 감이 아니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날 이후 마이크 앞에 서기 두려웠다” ― 익명 성우 A씨 증언
📢 KBS 성우극회는 28일 긴급 회의를 열고 “업계 전반의 불공정 행위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협회는 ▶증언 수집 ▶계약서 검토 ▶법률 자문 등 다각도의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X(트위터)에서는 #Hoyoverse_Stop_Abuse, #성우노동권 해시태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일부 이용자는 게임 삭제 인증 스크린샷을 올리며 보이콧을 선언했습니다. 반면 “확인되지 않은 일방 주장”이라는 신중론도 존재합니다.
법조계는 ‘근로계약 vs 도급계약’ 여부가 쟁점이 될 것이라 전망합니다. 근로성이 인정될 경우 근로기준법·직장 내 괴롭힘 금지 조항이 적용돼 손해배상 및 형사 처벌까지 가능하다는 분석입니다.
출처: X 사용자 @EGO_Jellybee
더빙 업계는 ‘하청 다단계 구조’를 근본 원인으로 지적합니다. 글로벌 퍼블리셔 → 한국 지사 → 로컬 스튜디오 → 프리랜서 성우 순으로 복잡하게 얽힌 계약 구조가 책임 소재를 흐린다는 것입니다.
사실 호요버스 갑질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23년 중국 서버에서도 비슷한 폭언 사건이 제기됐으나, 당시엔 내부 합의로 마무리됐다는 후문입니다.
현재 호요버스 본사는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며, 정책 위반이 드러날 경우 엄정 조치”라는 원론적 입장만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나 국내외 이용자들은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책’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도 파급력이 큽니다. 모바일 데이터 분석사 센서타워에 따르면 ‘원신’ 한국 매출 비중은 11% 내외입니다. 전문가들은 “여론 악화가 지속될 경우 매출 하락·IP 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 게이머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① 공식 채널에 의견 개진, ② 성우협회·노동 단체 후원, ③ 정보 검증 후 행동하는 ‘쿨 헤드’가 필요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갑질’은 은밀하게 반복될 때 구조화된다”며 “투명한 캐스팅 프로세스와 표준계약서가 게임 산업의 필수 인프라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호요버스 갑질 사태는 단순한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콘텐츠 노동 생태계 전반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진상 조사 결과·법적 대응·이용자 반응을 지속적으로 추적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