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조국혁신당 사무총장 황현선이 당내 성비위 의혹 대응 과정에서 중책을 수행하며 정치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


황 사무총장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 출신으로, 2025년 2월 조국혁신당 창당 준비위에 합류한 뒤 줄곧 조직 실무를 총괄했습니다.

핵심 키워드인 ‘황현선’과 ‘조국혁신당’은 그동안 개혁 이미지와 젊은 리더십으로 주목받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대변인 강미정 씨의 탈당 기자회견에서 성비위·괴롭힘 피해가 외면됐다는 폭로가 터지며 당은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


“피해자 10명이 호소했지만, 지도부가 묵살했습니다.” – 강미정 전 대변인(9월 4일 국회 소통관)

해당 발언은 가해자와 황현선 사무총장의 ‘막역한 관계설’로 확대돼 온라인 커뮤니티·SNS를 달궜습니다.

이에 대해 황 사무총장은 5일 새벽 입장문을 내고 “피해자 중심주의 원칙에 따라 재조사위원회를 가동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특히 “가해 당사자는 1차 조사 직후 제명됐다”면서도 “대응이 더뎠다면 사무총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고개를 숙였습니다.

정치권 반응은 엇갈립니다. 여당 측은 “제 식구 감싸기 전형”이라 비판했고, 야권 일각에서도 “2차 가해 방지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태현의 정치쇼 캡처ⓒ SBS 시사교양 라디오 유튜브

5일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한 황 사무총장은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진상조사위를 꾸려 2주 내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재차 약속했습니다.

그는 또 “피해자 보호 예산을 증액하고, 상설 젠더·인권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조직 문화 개선이 동반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이 크다”며 구체적 행동(예산, 규정 개정,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한편, 황현선 사무총장은 1986년생으로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며,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근무했습니다.

창당 후 그는 ‘정책 연수·봉사 100시간 의무제’, ‘청년 정치인 육성 펀드’ 등 혁신적 제도를 주도해 온 인물입니다.

그럼에도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총선 전략청년 지지층 결집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당내 관계자는 “9월 중순 공개되는 조사 결과와 후속 조치가 사무총장 거취 및 당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정리하면, 황현선 사무총장은 진화에 나섰으나, 피해자 보호·재발 방지 제도화라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조사위 발표와 제도 개선 과정, 그리고 정치권 파장을 지속적으로 취재해 독자 여러분께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