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대학가요제가 돌아왔습니다! 1977년 처음 시작해 수많은 레전드 뮤지션을 배출했던 MBC 대학가요제가 13년 만에 ‘2025 MBC 대학가요제 – 청춘을 켜다’라는 이름으로 부활했습니다.


첫 방송은 10월 26일 오후 10시 50분이었으며, MBC 본방송과 OTT·유튜브 동시 스트리밍으로 진행돼 Z세대까지 폭넓게 끌어모았습니다.

방송 편성 여파로 화제 프로그램 ‘심야괴담회’가 결방될 정도로 대학가요제에 쏠린 이목은 뜨거웠습니다.


2025 MBC 대학가요제 무대
(사진=MBC 제공)


대학가요제의 역사를 살펴보면, 1회(1977년) 대상곡 ‘샌드페블즈 – 나 어떡해’를 시작으로 송골매·015B·푸른하늘 등 한국 대중음악사를 장식한 뮤지션들이 이 무대에서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이번 부활은 MZ세대의 DIY 음악 문화와 레트로 열풍이 결합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무엇보다 故 신해철의 자녀 신하연·신동원 남매가 특별 게스트로 등장해 ‘민물장어의 꿈’을 헌정했습니다. 세대를 관통하는 감동의 무대였다는 리뷰가 이어졌습니다.

방송 직후 ‘신해철 자녀 대학가요제’, ‘민물장어의 꿈 라이브’ 등 연관 키워드 검색량이 폭증하며 바이럴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대학가요제는 단순 경연이 아니라 청춘이 스스로를 증명해 온 문화적 의식이다” – 김현철 심사위원장

심사위원단은 김현철·거미·넬 김종완·장기호 등 세대를 아우르는 라인업으로 꾸려져 공정성과 음악적 깊이를 모두 잡았다는 호평을 받았습니다.


올해 참가 팀 12팀은 사전 예심에서 2000여 팀을 뚫고 올라온 실력파입니다. 특히 밴드 ‘양치기소년단’, R&B 듀오 ‘달빛정거장’이 틱톡·릴스에서 선공개 영상을 통해 이미 팬덤을 형성했습니다.

최종 대상은 인디록 밴드 ‘네온테이프’에게 돌아갔고, 수상 직후 음원 차트 3위까지 급상승하며 ‘음원 파워’ 전설을 다시 썼습니다.


진행 MC로는 아이즈원의 김민주와 방송인 이서호가 호흡을 맞췄습니다. 💚 상큼한 진행과 세련된 무대 매너가 청춘 페스티벌 분위기를 한층 뜨겁게 달궜습니다.

또한 게스트 밴드 Xdinary Heroes가 깜짝 무대를 선보이며 ‘청춘 록 스피릿’을 증폭시켰습니다.


이번 부활이 갖는 산업적 의미도 큽니다. CJ·하이브·JYP 등 대형 기획사는 대학가요제를 신인 발굴 플랫폼으로 삼아 오디션·레코딩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이는 K-POP 메이저 시장대학·인디씬을 잇는 새로운 파이프라인으로 평가됩니다.


관람 티켓과 방청 신청은 MBC 홈페이지에서 선착순 무료로 진행되며, 현장 홍보 부스에서는 청춘 굿즈아카이브 전시가 진행돼 ‘추억+체험’ 두 마리 토끼를 잡았습니다.

특히 1977~2011 레전드 공연 영상을 VR로 체험할 수 있는 ‘타임머신 존’은 젊은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방송 다음 날 음원 플랫폼에서는 ‘2025 대학가요제 TOP12’ 컴필레이션 앨범이 발매돼 멜론·지니·애플뮤직 실시간 차트에 진입했습니다.

아울러 ‘MZ 청춘’ 수요에 맞춰 LP 한정판·카세트 테이프 패키지까지 출시되며 레트로 굿즈 시장도 뜨겁습니다.


콘텐츠 전문가들은 “대학가요제싱어송라이터 지망생에게 여전히 꿈의 무대”라며 “이번 성공이 향후 지역 예선 투어·글로벌 K-캠퍼스 버전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 2026 시즌에는 AI 작곡 부문 신설이 검토되고 있어, 기술과 예술의 융합 실험이 예고됩니다.


김민주 MC 현장
(사진=매니지먼트 숲 인스타그램 캡처)


결론적으로 ‘2025 MBC 대학가요제 – 청춘을 켜다’세대를 아우르는 음악 축제로서 부활에 성공했습니다. 레전드의 향수와 뉴웨이브의 창의성이 어우러진 현장이었습니다.

다음 시즌 참가를 꿈꾸는 예비 뮤지션이라면, 내년 4월로 예정된 온라인 예심 공고를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 청춘의 사운드를 켜는 주인공은 바로 당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