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yt20250702PYH2025070219640005400_P2.jpg

기아 이도현이 2일 광주-기아 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SSG 랜더스전 선발 마운드에 오르며 KBO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기아 타이거즈가 3위 도약을 노리는 가운데, 신인 우완 파이어볼러 이도현이 1군 첫 등판에서 ‘국민 에이스’ 김광현과 맞대결을 펼쳤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기아 이도현’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프로필·선발 발탁 배경·투구 유형·팀 전략·향후 전망을 총정리합니다.


잘 던지는 선수보다, 많이 던질 수 있는 선수가 필요했다.” – 이범호 감독1

감독의 한마디는 기아 이도현 선발 결정의 핵심 요인을 설명했습니다.

1. 선수 프로필 ✍️

• 이름 : 이도현(李度炫, Lee Do-hyun)
• 생년월일 : 2005. 03. 18.
• 신체 : 184 cm / 85 kg
• 학력 : 휘문고 → 2023 KBO 신인드래프트 7라운드(62순위) 기아 타이거즈
• 주요 구종 : 포심 패스트볼(최고 151 km/h), 슬라이더, 체인지업, 커브

2. 육상선수 출신, 그리고 토미존 수술 🩺

고교 시절 단거리 육상에서 단련된 하체를 바탕으로 강한 하체 드라이브를 구사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8월 팔꿈치 인대접합(토미존) 수술을 받으며 한 시즌을 통째로 재활에 투자했습니다.

3. 퓨처스리그 성적, ERA 8.94 속 의미 찾기 🔍

2025 시즌 퓨처스리그 9경기 27⅓이닝 평균자책점 8.94. 표면 성적은 좋지 않지만, 6월 이후 평균 구속이 149 km/h로 상승했고, 100구 소화 능력이 확인되면서 ‘대체 선발’ 카드로 낙점됐습니다.

4. 선발 발탁 배경 📝

  • 아담 올러·양현종 동시 휴식 필요
  • 불펜 과부하2 방지
  • SSG전 좌-우 밸런스 고려 (좌완 김광현 상대)

5. 김광현과의 맞대결, 전술 포인트 ⚔️

김광현은 좌우 타자 모두에게 슬라이더-포심 조합으로 헛스윙을 유도합니다. 반면 이도현은 세로 무브먼트가 큰 포심으로 높은 존에서 파울을 유도한 뒤, 바깥쪽 슬라이더로 삼진을 노립니다.


기아 이도현 투구 분석 영상 썸네일

▲ 이미지 출처 : YouTube ‘갸잘알’

6. 팀 순위와 전략적 의미 📈

6월 15승 7패를 기록한 기아는 월간 승률 1위에 올랐습니다. 7월 초반 SSG 3연전에서 로테이션을 지키기 위해 신인 카드를 과감히 활용했습니다.

7. 팬 반응과 SNS 트렌드 💬

151km 파이어볼러라니, 꿈을 꾸는 것 같다!
트위터(X)에서는 ‘#기아이도현’ 해시태그가 40만 노출을 기록했습니다. 일부 팬 계정은 3이닝 2실점 이하 달성 시 메가커피 기프티콘 이벤트를 예고하며 응원 열기를 더했습니다.

8. 전문가 시선 👓

스카우트 출신 해설위원 A씨는 “회전 효율(RPM/Velocity) 24.1로 리그 평균(22.8)을 상회한다”라며 ‘높은 릴리스 포인트’를 장점으로 꼽았습니다.

9. 향후 과제 및 관리 포인트 🛠️

  1. 제구 안정화 : 볼넷 비율 12.5 %
  2. 변화구 완성도 : 체인지업 존 적중률 41 %
  3. 부상 관리 : 수술 이력으로 피칭 간격 6일 유지 권고

10. 장기 로드맵 🚀

기아 타이거즈슬라이더+포심 원-투 펀치를 고도화해 ‘제2의 문승원’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을 세웠습니다.


결론 : 기아 이도현은 아직 ‘미완의 원석’이지만, 팀 사정과 본인의 잠재력이 맞아떨어지며 전격적인 1군 데뷔 기회를 잡았습니다. 결과와 무관하게 150 km/h를 던질 수 있는 스무 살 토종 선발은 기아에게 희소가치 높은 자산입니다.

📌 기아 타이거즈중·장기 선발진 리빌딩 성공 여부는 ‘이도현 성장 곡선’에 달려 있습니다. KBO 리그 팬이라면 앞으로 그의 피칭 하나하나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Copyright © 2025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