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2025년 9월 8일 새벽, 하늘이 붉은 달로 물드는 개기월식 시간이 다가옵니다. 이번 우주 쇼는 3년 만에 찾아오는 만큼 관측 준비를 서두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주요 개기월식 시간표를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한국천문연구원 기준

01:26:48 부분식 시작 → 02:30:24 개기식 시작 → 03:11:48 최대식 → 03:53:12 개기식 종료 → 05:56:36 월식 전 과정 종료


보름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면 붉은 빛을 띠게 됩니다. 이를 흔히 블러드문이라고 부르며, 태양광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장이 긴 붉은색만 굴절돼 달을 비추기 때문입니다.

이번 개기월식의 식분은 1.012로 계산돼 달이 82분간 완전히 가려집니다. 따라서 개기월식 시간 동안 남서쪽 하늘만 확보된다면 전국 어디서든 관측할 수 있습니다.


블러드문 이미지
이미지 출처: StarWalk.Space

관측 포인트를 선택하실 때는 빛 공해가 적은 곳을 권장합니다. 도심이라도 옥상이나 하천변처럼 시야가 트인 곳이라면 달을 충분히 볼 수 있습니다.

🔭 관측 TIP : 쌍안경은 달의 질감을, 망원경은 붉은색 그라데이션을 선명하게 확인하게 해줍니다. 맨눈으로도 안전하게 볼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호 장비는 필요 없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려면 ISO를 400 이하로, 셔터 속도는 1/125초 이상으로 맞추고 삼각대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카메라 앱의 RAW 저장 기능을 켜 두면 후보정 시 색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개기월식 관측 사진
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개기월식은 왜 3년 만에 다시 나타났을까요? 달의 궤도 경사(5.14°) 때문에 태양·지구·달이 완전히 일직선이 되는 경우가 흔치 않습니다. 그 결과 같은 장소에서 관측 가능한 개기월식 시간은 평균 2~3년에 한 번꼴로 찾아옵니다.

다음 국내 관측 가능 개기월식은 2028년 12월 31일로 예보돼 있습니다. 새해 카운트다운과 동시에 붉은 달을 볼 수 있는 보기 드문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월식을 ‘천구지징’으로 기록하며 왕조 교체의 전조로 해석했습니다. 한반도 조선왕조실록에도 총 198회의 월식이 상세히 남아 있어 과거인들도 개기월식 시간을 매우 중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 대전시민천문대 등 공공기관들은 이번 월식을 실시간 중계할 예정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유튜브에 접속하면 구름이 많은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블러드문’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달이 붉게 물든 모습
이미지 출처: 뉴시스

기상청은 7일 23시 예보에서 ‘대부분 지역 맑음’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동해안 일부 지역은 낮은 구름층이 형성될 수 있으니 관측 전 최신 기상 레이더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흐린 하늘 때문에 달을 직접 보지 못하더라도, 개기월식 시간에 주변이 다소 어두워지는 독특한 분위기는 체험할 수 있습니다. 도시의 가로등 아래서도 붉은 달빛이 주변을 담담히 비출 것입니다.

이번 학기 천문 동아리 학생들은 월식 데이터를 수집해 달 표면 온도 변화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처럼 우주 이벤트는 교육적 가치도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달이 완전히 가려졌다고 끝난 것이 아닙니다. 03:53:12 이후 달 한쪽이 서서히 밝아지며 무대 커튼이 걷힙니다. 전 과정을 관측해야 완벽한 개기월식 관람이 완성됩니다.


정리 : 2025년 9월 개기월식 시간은 새벽 1시 26분부터 5시 56분까지 이어집니다. 이 특별한 새벽, 붉은 달과 함께 우주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