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2025년 9월 8일 새벽, 대한민국 하늘에는 약 3년 만에 찾아오는 개기월식이 펼쳐집니다. 이때 달은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면서 검붉게 물든 ‘블러드문’ 현상을 연출합니다.


블러드문 현상은 달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 대기를 통과한 붉은 파장의 빛이 달 표면을 물들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Rayleigh 산란과 지구 대기의 굴절로 설명합니다.

블러드문 대표 이미지
이미지 출처: StarWalk Space


한국천문연구원 예보에 따르면 부분식 시작은 1시 26분, 개기식 시작은 2시 30분, 최대식은 3시 11분, 종료는 4시 52분입니다. 달이 완전히 그림자에서 벗어나는 시각은 5시 56분입니다.

“83분 동안 이어지는 블러드문은 맨눈, 쌍안경, 소형 망원경 모두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한국천문연구원


🔭 관측 팁입니다. 빛 공해가 적은 곳으로 이동하고, 동남쪽 하늘을 트인 시야에서 바라보면 좋습니다. 서울·경기 수도권에서는 한강변, 남산, 북한산 둘레길이 인기 관측지로 꼽힙니다.

🌡️ 기온은 이른 가을답게 15℃ 안팎으로 내려갈 전망이므로 얇은 바람막이를 챙기면 쾌적합니다. 날씨가 흐릴 경우 각 지방과학관·대학 천문대가 제공하는 실시간 온라인 중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개기월식 현장 사진
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 촬영 요령도 눈여겨보세요. 스마트폰은 수동 노출 기능을 활용하고, 셔터 스피드를 1/125–1/250초 사이로 맞춰야 달의 디테일이 살아납니다. DSLR·미러리스 카메라는 200mm 이상 망원 렌즈와 삼각대를 준비하면 선명한 붉은 달을 담을 수 있습니다.

블러드문 관측 시 가장 흔한 실수는 ‘오버 노출’입니다. 달이 생각보다 어둡게 보이므로 ISO 800 이하, 조리개 ƒ/5.6 전후를 권장합니다.


사회·문화적 의미도 큽니다. 고대에는 붉은 달이 풍요나 변혁의 신호로 해석됐으며, 현대에는 천문 이벤트이자 천체사진 축제가 됐습니다. 국내 여러 지자체는 이번 개기월식에 맞춰 야간 과학 문화제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해외에서도 관심이 뜨겁습니다. 베이징·방콕·울란바토르 등 동아시아 전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미 서부·호주 동부에서는 부분식 상태로 이어집니다. 전 세계 인구의 70% 이상이 이번 개기월식의 일부 과정을 보게 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월식 촬영
이미지 출처: bnt뉴스/한국천문연구원


다음 개기월식 일정도 미리 확인해 두면 좋습니다. 2026년 3월 3일2028년 12월 31일에 부분 월식이 예정돼 있으나, 블러드문을 다시 만나려면 2029년 6월을 기다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달을 오래 바라볼 때 눈의 피로를 줄이려면 20–20–20 원칙(20분마다 20초간 20피트 거리 응시)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헤드램프에 적색 필터를 끼우면 눈의 암적응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이번 2025 블러드문은 과학적 경이로움과 문화적 상징성을 동시에 품은 희귀 이벤트입니다. 준비물을 챙기고, 날씨 앱을 확인하고, 새벽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와 교감해 보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