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라이브이슈KR 김태은 기자 🌕


블러드문 대표 이미지
사진 출처: Star Walk Space


2025년 9월 8일 새벽,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서 ‘블러드 문(Blood Moon)’이라 불리는 개기월식이 펼쳐질 예정입니다.

이번 월식은 총 83분 동안 이어지며, 한국은 물론 아시아·오세아니아·서부 북미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합니다.


“지구 대기를 통과한 붉은 파장만 달 표면에 닿기 때문에 달은 선혈처럼 붉게 보입니다.” — 한국천문연구원


1. 블러드 문 일정

한국 표준시(KST)를 기준으로 2025.09.08 새벽 1시 26분 부분월식이 시작되고, 2시 30분 개기월식이 개시됩니다. 최대식(절정)은 3시 11분이며, 4시 53분 부분월식이 끝날 때까지 하늘쇼가 계속됩니다.

개기월식 단계
사진 출처: bnt뉴스·한국천문연구원

2. 왜 붉을까? 달이 어두운 지구 본그림자(umbra)에 들어가도,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광 중 장파장 붉은빛만 굴절해 달을 비춥니다. 이 현상을 레일리 산란이라 합니다.

3. 관측 조건 전국 어디서든 맨눈 관측이 가능하지만, 남서쪽 지평선이 탁 트인 곳일수록 시야 확보가 좋습니다. 수도권은 관악산·아차산, 지방은 지리산 노고단·태백산 정상 등이 추천됩니다.

4. 장비 선택 쌍안경 8×42 정도면 월면 색 변화가 뚜렷이 보입니다. 700mm 이상 망원경으로는 월면 분화구와 함께 붉은 채도를 세밀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5. 스마트폰 촬영 팁 ISO 800, 셔터 1/125~1/250s, 수동 초점 무한대(∞)로 맞춘 뒤,
연속 촬영 후 후보정에서 노이즈를 줄이면 붉은 달을 손쉽게 담을 수 있습니다.

붉은 달 촬영 예시
사진 출처: 조선일보

6. 날씨 변수 기상청 5 km 격자 예보에 따르면 서울·수도권은 구름량 3~4 oktas, 남부지방은 대체로 맑을 전망입니다. 실시간 위성 영상으로 마지막까지 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

7. 안전 수칙 산행 시 야간등산 전용 랜턴과 방한 의류를 지참하십시오. 삼각대 설치 시 타인 동선 확보도 필요합니다.

8. 과거 사례 2022년 11월 8일 블러드 문 당시 SNS에 ‘#BloodMoon’ 해시태그만 300만 건 이상 기록되어, 이번에도 폭발적 관심이 예상됩니다.

9. 문화·역사적 의미 고대 중국은 붉은 달을 “천구(天狗)가 달을 삼켰다”고 믿어 북을 쳤고, 서양 중세에는 왕위 교체의 불길한 징조로 기록됐습니다. 현대에는 순수 천문 이벤트로 즐기는 추세입니다.

10. 관련 행사 국립과천과학관·대전시민천문대는 무료 관측회를 연다며, 사전 예약 페이지가 이미 80% 이상 마감됐습니다.

11. 생중계 채널 한국천문연구원 유튜브, NASA TV, Star Walk 앱에서 4K 라이브 스트리밍을 제공합니다.

12. 다음 블러드 문 전문가들은 2026.12.31에도 부분월식이 예고돼 있으나, 완전 개기월식은 2028년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국제 블러드문 인포그래픽
사진 출처: Vietnam.vn

13. 체크리스트 ☑ 삼각대 ☑ 여분 배터리 ☑ 따뜻한 음료 ☑ 별자리 앱 ☑ 해시태그 #블러드문 공유

14. 전문가 한마디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박사는 “83분간 이어지는 이번 월식은 10년 내 최고 조건”이라며, 구름이 적다면 붉은 달의 미세 색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15. 맺음말 2025년 가을밤, 붉은 달이 선사할 우주 쇼를 놓치지 마십시오. 밤하늘 아래 펼쳐질 자연의 장엄함이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