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마트 티비 한눈에 보기
2025년 하반기 국내 스마트 티비 시장은 OLED, QD-OLED, MiniLED 세 가지 프리미엄 패널 경쟁이 핵심이었습니다.
1. 프리미엄 패널 기술 업데이트
OLED 티비는 명암비와 블랙 표현력이 뛰어났습니다. 올해는 ML(마이크로 렌즈) 구조가 적용돼 최대 밝기가 30% 향상됐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하는 QD-OLED 티비는 색 재현율이 90% BT.2020 수준으로 개선돼 영화 감상에 최적이었습니다.
LG·TCL이 주도한 MiniLED 티비는 2,000~5,000개 로컬 디밍 존을 갖춰 가격 대비 밝기가 우수했습니다.
2. 주요 OTT·콘텐츠 동향
“콘텐츠 생태계가 곧 티비 하드웨어 가치를 좌우한다” – 업계 공통 분석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외에 애플 티비 플러스, 스포티비 등 스포츠 특화 서비스가 UHD-HDR 스트리밍을 강화했습니다.
특히 애플의 MLS Season Pass는 120Hz VRR을 지원해 스포츠 시청 경험을 크게 높였습니다.
3. 게이밍 특화 티비 기능
HDMI 2.1 48Gbps 대역폭, ALLM, G-SYNC/FreeSync 호환은 이제 엔트리급에도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삼성 Neo QLED ‘Game Bar 4.0’은 인풋랙 5ms 수준이며, LG ‘Game Optimizer’는 블루투스 5.3 저지연 모드를 탑재했습니다.
4. 사운드·AI 업스케일링 개선
돌비 애트모스 7.1.4 가상 채널을 구현하는 OTS Pro와 AI Sound Pro 11.1.2가 각각 삼성·LG 플래그십에 적용됐습니다.
업스케일링은 4세대 α11 AI Processor와 Neural Quantum 8K가 20비트 딥러닝을 통해 SDR 콘텐츠를 HDR 유사 품질로 변환했습니다.
5. 💡 구매 가이드
50~65인치 ‘패밀리 룸’에서는 전력 효율이 좋은 QD-OLED가, 77인치 이상 ‘홈 시네마’에서는 블랙 표현이 우수한 OLED 티비가 권장되었습니다.
밝은 거실이나 커머셜 공간에는 2,000nit 이상 밝기의 MiniLED 티비가 실용적이었습니다.
6. 💰 가격·프로모션 동향
7월 홈쇼핑 기획전에서 77인치 OLED 티비가 처음으로 250만 원대에 진입했습니다.
카카오 선물하기에서는 ‘스탠딩 티비 SET’가 29만 8,000원으로, 20대 1인 가구 사이에서 판매량 상위 3위를 기록했습니다.
7. 친환경·에너지 등급
2025년 신규 표준 ‘에너지 소비효율 2.0’에 따라 55인치 이상 티비는 1등급을 위해 소비전력 110W 미만을 충족해야 했습니다.
LG·소니는 재활용 플라스틱 비율을 60%까지 끌어올려 탄소 발자국 라벨을 획득했습니다.
8. 글로벌 티비 시장 전망
DSCC는 2025~2028년 QD-OLED 출하량이 연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면 MiniLED는 중저가 세그먼트 확장으로 물량은 늘지만, ASP(Average Selling Price)는 8%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9. 전문가 한마디
김영수 한국디스플레이학회 이사 ▶ “모바일 AP 기반 AI 화질 엔진이 차세대 스마트 티비 경쟁력을 좌우할 것입니다.”
10. 소비자 체크리스트
- HDMI 2.1(4개) 여부 ✔️
- 120Hz 패널 + VRR ✔️
- OTT 사전 설치 & 무손실 오디오 지원 ✔️
- 에너지 등급 1등급 이상 ✔️
11. 마무리
종합적으로 티비는 더 이상 단순 시청 기기가 아니었습니다. 게임·스포츠·영화 경험을 통합하는 홈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진화했습니다.
2025년 하반기 스마트 티비를 구매하려면 패널 특성과 사용 목적을 먼저 정의하고, AI 화질·사운드·OTT 호환성을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라이브이슈KR 취재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