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집중호우가 지나간 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은 단연 재난지원금을 어떻게 받아야 하나요?”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도 국민재난안전포털을 통해 사유재산 피해 신고재난지원금 신청을 동시에 받습니다.

재난 지원금 안내Photo by Mark Fletcher-Brown on Unsplash

온라인 신청은 ‘재난 종료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가능하며, 방문 접수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진행합니다.


올해 재난지원금① 인명피해, ② 주택·사업장 피해, ③ 농·어업 재해 세 구분으로 분류돼 지급됩니다.

특히 소상공인은 매출 증빙 서류를 함께 제출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방자치단체도 발 빠르게 움직입니다. 🏢 아산시·양산시·삼척시는 자체 기금을 더해 ‘민생회복지원금’을 별도 지급하고 있습니다.


“피해 주민께서는 지원 기한을 놓치지 말고, 온라인·방문 신고를 병행해 최대한 빨리 접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행정안전부 재난관리과 관계자


신청 절차는 간단합니다.
국민재난안전포털 접속 → ② [참여와 신고] → ③ 사유재산피해신고 → ④ 피해 유형 선택 후 ‘신규등록’ 클릭.

서류 준비가 어렵다면? 📱 정부24 모바일 앱에서 주민등록등본·사업자등록증을 전자파일로 바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지역사랑상품권·소비쿠폰 연계 제도도 시행됩니다. 재난지원금 수령액의 20%를 상품권으로 받으면 온누리·제로페이 가맹점에서 10% 추가 할인 혜택을 받습니다.


지역사랑상품권Photo by Visual Stories || Micheile on Unsplash

카드사도 합류했습니다. 💳 KB국민카드·신한카드는 ‘재난지원금 자동 캐시백’ 기능을 제공해 결제 즉시 사용 잔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효과도 눈에 띕니다. 주간조선 분석에 따르면,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직후 축산물 소비가 18% 증가1했습니다.

다만 현금 살포 효과단기에 그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속 가능한 복구 계획과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주의사항(필독)

  • 허위·과장 신고 시 전액 환수3년 이하 징역 처벌 가능.
  • 동일 피해에 대해 재난지원금·보험금 중복 수령 불가.
  • 민생회복 소비쿠폰요일제 신청(5부제)를 적용, 출생연도 끝자리로 접속 일자 제한.

올여름 집중호우는 끝났어도, 피해 복구지역 경제 회복은 이제 시작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지원금 신청 방법·지급일·사용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 독자 여러분의 권익을 지키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