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브이슈KR 단독 —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7월 21일 개시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주민등록지와 실제 거주지 일치 여부를 확인해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정확한 인구 통계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입니다.
1️⃣ 주민등록 사실조사란?
주민등록법 제20조에 근거해 3년 주기로 시행되며,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조사요원이 전 세대를 방문·확인하거나 정부24앱을 통한 비대면 디지털 조사를 병행합니다.
⏰ 조사 기간: 2025년 7월 21일~11월 26일
📍 대상: 전 국민(주민등록자)
2️⃣ 왜 지금 중요할까?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전입·전출이 늘면서 주민등록 사실조사 필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잘못된 주소는 재난지원금, 선거 공보 발송, 학교 배정 등 다양한 행정서비스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핵심 키워드 집중 분석
“비대면 조사, 정부24앱, 실거주지 확인, 장기 거주불명자, 복지 사각지대 해소“
검색량이 급증한 이유는 각 지자체가 일제히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온라인·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했기 때문입니다.
4️⃣ 참여 방법: 3분 완성 가이드 ⏱️
- 스마트폰 정부24앱 실행 → 메인 배너 「2025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클릭
- 본인 인증(간편인증·금융인증서 가능) 후 세대 구성원 확인
- 실거주 여부·연락처 등을 체크 → 제출
💡 세대주가 한 번 입력하면 가족 전체 정보가 반영돼 ⏲️ 3분이면 완료됩니다.
5️⃣ 방문 조사 시 유의 사항
비대면 미참여 세대는 9월부터 조사원이 신분증 패용 후 직접 방문합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전체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의심 연락은 즉시 행안부 110 콜센터로 신고해야 합니다.
6️⃣ 중점 점검 대상
- 100세 이상 고령자 생존 여부
- 사망 의심자·장기 거주불명자
- 해외 체류 90일 이상 장기 출국자
정확한 주민등록 사실조사 결과는 사회보장·기초연금 예산 낭비를 막습니다.
7️⃣ 불이행 시 과태료 📌
정당한 사유 없이 조사 거부·기피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반면, 자진 신고자는 최대 75% 감경 혜택이 주어집니다.
8️⃣ Q&A로 풀어보는 실전 팁
Q1 휴대전화가 없는 고령자는?
A 읍·면·동사무소 방문 후 직원이 대리 입력을 지원합니다.
Q2 회사 기숙사 거주자는?
A 실제 거주지가 기숙사면 주소 이전을 권고합니다. 불이행 시 불일치 데이터로 분류됩니다.
9️⃣ 전국 지자체 동향
서울 은평구, 강원 고성군, 충북 보은군, 전남 광양시, 경북 울진군 등 각 지자체가 동일 기간 주민등록 사실조사 홍보에 돌입했습니다.
🔟 데이터가 바꾸는 미래 행정
정확한 주민등록 정보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 인프라입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AI 기반 인구 예측·생활 SOC 배치 등에 활용됩니다.
📊 통계로 보는 지난 조사(2022년)
· 거주불명자 63만 명 → 59만 명으로 6.3% 감소
· 허위 전입신고 적발 1만 2천 건 → 과태료 22억 원 부과
🌐 해외 사례 한눈에
일본은 ‘주민기본대장 네트워크’로 주소지 불일치율 1% 미만, 독일은 멜데슈타트(Meldestaat) 제도로 ‘주소 불일치 시 1,000유로’ 벌금 부과 등 강력 대응 중입니다.
📝 취재 후기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비대면 참여율 70%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전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우리 공동체 신뢰망을 튼튼히 하는 데이터 대청소입니다. 정부24에서 지금 바로 확인하고, 3분 투자로 행정서비스 품질을 높여보시기 바랍니다. 😊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각 지자체 공식 블로그·보도자료
대표 이미지 출처: 하남시청 공식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