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됐습니다
라이브이슈KR 취재팀은 시험 운영 현황과 입실 시간, 반입 금지 물품, 가채점 전략, 등급컷 체크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올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졌습니다.
응시 규모는 약 55만 명 수준으로 집계되어 최근 7년 사이 최다라고 전해졌습니다1 😊.
수험생은 시험 당일 오전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수험표와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수험표를 분실한 경우에는 시험장 시험본부에서 본인 확인 후 임시수험표를 발급받을 수 있다고 안내되었습니다2 ⏰.

시험 시간표는 1교시 국어 → 2교시 수학 → 3교시 영어 → 4교시 한국사·탐구 →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사는 모든 수험생이 응시해야 하는 필수 영역이며, 대학별 반영 방식에 따라 최저학력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반입 금지 물품은 시험장 안에서 전원OFF 후 감독관 지시에 따라 제출하거나 보관함에 넣어야 합니다.”
— 시·도교육청 수험생 유의사항 안내 종합3,4
반입 금지 대상에는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블루투스 기능 기기, 전자담배, 통신·결제 기능 시계 등 통신 가능 장치가 포함됩니다.
필기구는 감독관 안내에 따르며, 지급 또는 허용 범위 내 도구만 사용해야 하며 사전에 연습한 계산기나 전자저장장치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4교시 탐구영역은 응시 과목 수와 순서를 정확히 확인하고, 과목 간 대기 시간과 문제지 교체 지침을 지켜야 합니다.
불가피한 실수 예방을 위해 답안지 과목 코드와 문항 번호를 한 번 더 대조하는 습관이 유효합니다 🔍.
입시업계 초기 평가는 “작년과 유사한 평이한 수준”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5.
다만 상위권 변별은 특정 문항의 난이도와 선택과목 조합에 따라 좌우될 수 있어, 국어 난이도와 수학 등급컷의 미세한 편차에 주목해야 합니다 📊.
가채점은 본인 OMR 마킹과 시험지 여백 풀이를 토대로 진행하며, 공식 정답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하는 자료만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수능 답지 2026’, ‘2026 수능 수학 답지’, ‘2026 수능 영어 답지’ 등 비공식 유포본은 오류와 법적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사설 기관의 등급컷은 표본과 추정 방식에 따른 오차가 존재하므로, 메가스터디 등 복수 추정치를 교차 비교하고 작년 수능 등급컷과의 격차를 함께 보정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특히 영어와 제2외국어/한문은 등급 분포 특성상 대학별 반영 비율과 수능 최저 충족 여부를 동시에 고려해야 유리합니다 ✅.
정시 지원에서는 계열에 따라 수학 선택과목과 탐구 조합의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공계 특성화 대학과 상위권 자연계열은 수학과 과학탐구 비중이 높은 경향이 있어, 카이스트 등 목표 대학의 전형안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인문·사회계열 지원자는 국어와 수학의 조합 점수, 한국사 반영, 탐구 표준점수 및 변환표준점수 적용 여부를 세밀하게 검토해야 합니다.
숙명여대 등 주요 대학은 전형 요소와 반영비율이 상이하므로, 대학별 예치금·추가합격 흐름까지 염두에 둔 원서 접수 전략이 필요합니다 🗂️.

시험 종료 후에는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정시/수시 병행 전략을 업데이트하고, 대학별 모의지원 서비스를 통해 합격 가능권을 수치화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의신청 절차를 거쳐 최종 정답이 확정되며, 성적 통지는 예년처럼 12월 초 순차 제공이 예상된다고 입시기관은 안내하고 있습니다참고.
각 지자체는 수험생 교통 대책과 함께 수험생 할인·수험표 할인 행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어, 수험표 지참으로 문화·교통·편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수험표 촬영·공유는 최소화하고, 바코드·수험번호 노출을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수능 국어 2026, 2026수능 수학, 수능 채점, 국어 등급컷, 수학 등급컷 등 연관 키워드는 결과 활용의 핵심 지점입니다.
본지는 평가원 수능 공식 자료와 시·도교육청 공지, 주요 언론 보도를 지속 확인하여 후속 정보를 신속히 전하겠습니다 📰.
출처 및 참고
- 1 BBC News 코리아, “55만 수험생 ‘결전의 날’…수능 응시생 7년 만에 최다”, 2025-11-13,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pd27z533y8o
- 2 중앙일보 이슈 패키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https://www.joongang.co.kr/issue/11811
- 3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 유의사항”, https://www.jbe.go.kr/
- 4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험생 유의사항”, https://www.sje.go.kr/sje
- 5 매일일보, “[2026 수능] 올해 수능, 예상보다 ‘평이’…작년 난이도와 유사”,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302866
- 6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수능일 출근시간 조정 안내”, https://cse.pusan.ac.kr/
상기 정보는 교육청 공지와 주요 언론 보도를 종합한 것으로, 대학·평가원 최종 발표에 따라 세부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