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남구 국회의원 박수영 의원이 최근 SNS에 올린 “부산 시민은 25만원 민생회복 지원금이 필요 없다”는 취지의 글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해당 발언은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나왔습니다. 시민들은 즉각적인 반발을 표했고, 야당은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이라며 공세에 나섰습니다.
“부산은 산업은행 이전·북항 재개발 등 굵직한 성장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25만원 현금 지원보다 더 큰 미래 먹거리에 집중해야 합니다.”1) – 박수영 의원 SNS 중
박 의원의 주장 핵심은 단기 현금 지원보다 장기 투자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그러나 물가 상승·고금리·전세난으로 생활비 부담이 커진 시민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논리라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이번 사안이 이슈로 부상한 배경에는 ‘25만원’이라는 구체적 금액이 주는 체감성과, 최근 들어 잇따른 생활 밀착형 지원책에 대한 높은 관심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지역구 의원 개인 의견일 뿐”이라며 거리를 두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이는 여권 내에서도 여론 악화를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편 박 의원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 추진의 선봉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지난달 국회토론회에서 “산은 이전은 부산 금융중심지 완성을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며 법 개정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경제 전문가는 “물리적 이전만으로는 고급 금융인력·관련 생태계 유치가 어렵다”며 우려를 표합니다. 지원금 문제까지 겹치며 박 의원의 지역 발전 전략 전반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논란이 2026년 부산시장 선거와 맞물려 보수·진보 진영의 프레이밍 전쟁으로 확전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실제 친여 성향 커뮤니티에서는 “‘부산 갈라치기’에 불과하다”는 비판 글이 빠르게 확산됐고, 트위터(X)에서는 #25만원_필요하다 해시태그가 급상승 검색어에 올랐습니다. 😡
반면 박 의원 측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저소득·취약계층 지원은 전적으로 찬성한다”면서도, “보편적 현금살포는 재정 지속 가능성을 해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어 “발언 취지와 달리 ‘전체 부산 시민은 필요 없다’로 확대 해석됐다”며 유감을 표명했지만, 논란 진화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이미지 출처: X(@Dazzlingg_2)
정가 관계자는 “보편 지원 vs 선별 지원 논쟁은 2020년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 때부터 이어져 온 숙제”라며, “국민 공감대를 얻는 설계 없이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결국 이번 사안은 ‘민생 전략’을 둘러싼 가치 충돌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와 단기 지원이 상호 배타적 관계가 아닌 만큼, 정책 당국과 정치권은 균형점을 모색해야 합니다.
부산 시민들도 단순한 ‘찬·반 대결’을 넘어, 재정 구조·미래 산업·지역별 특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 liveissuekr 분석
- 7월 15일: 기재위 전체회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안 첫 심사
- 8월 1일: 산업은행법 개정안 공청회 예정
- 9월 정기국회: 지원금·이전 법안 병합 심사 가능성
정치권은 “정책 효과성을 숫자로 증명”해야 할 시점입니다. 박수영 의원 역시 SNS 한 줄보다 구체적 데이터·로드맵을 제시할 때 더 큰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예산 심의 과정과 부산 지역 민심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