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LCK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한화생명e스포츠가 T1을 상대로 세트스코어 3-0 완승을 거두었습니다.
첫 번째 세트부터 ‘바이퍼’ 박도현의 원거리 화력과 ‘피넛’ 한왕호의 정글 장악이 돋보였습니다. T1은 ‘오너’ 문현준의 적극적인 갱킹으로 주도권 회복을 시도했으나, 한화생명의 팀 파이트 집중력이 더 앞섰습니다.
두 번째 세트에서는 ‘제우스’ 최우제의 탑 라인 캐리력을 봉쇄하기 위해 한화생명이 라칸-시비르 조합으로 라인 스왑을 시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T1은 포탑 골드 4장을 내주며 운영 흐름이 끊겼습니다.
“한화생명은 올해 정규 시즌에서 T1을 상대로 1승 5패로 열세였지만, PO를 위한 맞춤 전략으로 트라우마를 깼습니다.” — LCK 해설위원 김동준
세 번째 세트는 압도적인 스노우볼 경기였습니다. 15분 드래곤 교전 이후 한화생명이 바론&드래곤 더블 버프를 확보하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었습니다. T1의 마지막 교전은 ‘케리아’ 류민석의 이니시에이팅이 실패하며 허무하게 끝났습니다.
📊 경기 주요 지표※LCK 공식 기록
1) 한화생명 팀 KDA 5.1 ▸ T1 팀 KDA 1.7
2) 오브젝트 점령률 78% vs 22%
3) 골드 격차 최대 11.4K
▲ 이미지 출처: 네이트 스포츠
한화생명은 이번 승리로 승자조 3라운드에 선착, 동시에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월즈) 출전권을 확보했습니다. 반면 T1은 패자조로 내려가 젠지-KT 승자 사이의 맞대결 승자와 최종 티켓을 놓고 재격돌해야 합니다.
한화생명 변상윤 단장은 “정규 시즌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했고, T1전 대비에만 2주를 투자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경기 전부터 ‘티원 트라우마 극복’이 팀 내부 키워드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미지 출처: 쿠키뉴스
🎯 전략 분석
• 픽&밴 단계에서의 차별화: 한화생명은 1·2세트 연속으로 ‘세나-탐켄치’를 허용하지 않으며 T1 특유의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조합을 저지했습니다.
• 시야 장악: 경기 당 평균 와드 설치 97개로 T1(68개)을 크게 앞섰습니다.
• 한타 포커싱: ‘바이퍼’의 딜링 비중이 팀 총 데미지의 41%를 차지했습니다.
🗓️ 앞으로의 일정
• 9월 18일 18:00 — 승자조 3R: 한화생명 vs 젠지/KT 승자
• 9월 19일 19:00 — 패자조 2R: T1 vs 젠지/KT 패자
PO 포맷상 T1은 연달아 두 경기를 이겨야만 월즈행 막차를 탈 수 있습니다. 반면 한화생명은 결승 직행을 노리면서 최소 2번의 재경기 기회까지 확보했습니다.
국제 대회 경험이 많은 T1 ‘페이커’ 이상혁은 패배 직후 “팬 분들께 죄송하다. 패자조에서 반드시 반등해 다시 맞붙겠다”고 전했습니다.
한화생명 구단 SNS에는 “#PO_폭주기관차”, “#바이퍼쇼” 등의 해시태그가 올라오며 팬들의 기대감을 끌어올렸습니다. 일부 해외 분석가는 “한화생명이 현 메타 최적화 팀”이라며 LCK 우승 후보 1순위로 평가했습니다.
💡 키 플레이어 인터뷰 한눈에 보기(생략된 질문 포함)
Q. 오늘 경기를 총평한다면?
바이퍼: “라인전부터 한타까지 모든 퍼즐이 맞아떨어졌습니다.”
Q. T1과 재대결 시 전략 변화가 있을까?
피넛: “전혀 달라진 모습을 준비해 팬들에게 또 다른 재미를 드리겠습니다.”
⚡ e스포츠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결과가 “LCK 빅3 구도를 흔드는 분수령”이라고 분석합니다. 특히 한화생명의 ‘파괴전차’ 별명이 다시 등장하며 2025 시즌 판도가 크게 요동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은 이번 T1-한화생명 시리즈를 어떻게 보셨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면 추후 라이브이슈KR 후속 기사에 반영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