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bs_.co_.krnewimgnews20250702202087397_1280.jpg

📈 원달러환율 1,350원 안팎 등락 배경 완전 분석

“환율은 거시경제의 체온계입니다. 숫자 뒤에 숨은 심리를 읽어야 투자 전략이 선명해집니다.”


1️⃣ 오늘(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장중 1,355원선에서 오르내렸습니다. 장 초반 달러 약세로 1,355.1원까지 밀렸다가 외국인 주식 매도세로 1,358.7원까지 반등했습니다.

외환시장 현황ⓒ SBS 뉴스

2️⃣ 4시간 전 네이버 금융 기준으로 USD/KRW는 1,355.70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2.80원 상승한 수치였습니다.

3️⃣ 글로벌 투자포털 Investing.com의 실시간 데이터도 비슷한 흐름을 보여 1,355원~1,357원 범위를 유지했습니다. 단기 변동성 확대가 확인됩니다.

Investing.com 로고ⓒ Investing.com

4️⃣ 이번 주 달러인덱스(DXY)는 104선에서 약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위안화 약세와 외국인 주식 순매도가 맞물리며 원화만 상대적으로 약세가 이어졌습니다.

5️⃣ 미국 PCE 물가 둔화에도 불구하고 연준 인사들의 ‘매파 발언’이 잇달아 나오면서 달러환율 방향성을 뚜렷하게 가리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 원달러환율 변동 3대 촉매

6️⃣ 첫째, 외국인 주식·채권 매매입니다. 7월 첫 거래일 외국인 투자자는 코스피에서 4,20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습니다.

7️⃣ 둘째,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로 수출 전망은 밝으나, 실제 무역수지 개선 시점이 지연되며 원화 수요가 즉각적으로 늘지 않았습니다.

8️⃣ 셋째, 위안화 약세입니다. 중국 경기 부양 강도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CNY/KRW 연동 효과가 커졌습니다.


🔍 숫자로 읽는 현재 위치

9️⃣ 우리은행 기간별환율 조회에 따르면 7월 2일 매매기준율은 1,358.70원이었습니다. 전일 대비 2.80원 상승입니다.

🔟 KB국민은행은 당일 변동 범위 1,349~1,358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시장 참가자들이 1,350원선을 심리적 분수령으로 인식함을 의미합니다.

KB의 생각ⓒ KB국민은행


📊 하반기 환율 전망과 투자 전략

11️⃣ 국내 주요 증권사는 3분기 평균 1,320~1,340원을 예상합니다. 단, 미국 대선 레이스와 중국 경기 회복 속도에 따라 상·하단이 1,300원~1,380원까지 넓어질 수 있습니다.

12️⃣ 투자 팁: 기업 실적·수입결제 등 실수요는 1,345원 이하에서 분할 매수, 해외주식·부동산 송금은 1,360원 이상에서 분할 매도 전략이 권고됩니다.

13️⃣ 실물 경제 주체라면 환헤지(Forward, NDF)를 통해 3~6개월치 달러 노출을 30~50% 수준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유효합니다.

14️⃣ 개인 투자자는 ETF(예: 달러인버스, 달러선물)외화 RP를 활용해 변동성 장세의 완충 장치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1,350원의 함의

15️⃣ 원달러환율 1,350원은 글로벌 자금 흐름과 국내 펀더멘털이 교차하는 ‘균형점’으로 해석됩니다. 하반기에도 무역수지 개선 vs. 글로벌 달러 수요의 힘겨루기가 이어질 전망이므로, 투자자는 냉철한 시각과 단계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라이브이슈KR는 변동하는 환율 속에서도 독자 여러분이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최신 데이터·분석을 지속적으로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