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출처: 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3호선은 도심·강남·분당을 하나로 잇는 핵심 교통축입니다. 1985년 10월 18일 개통한 이후, 수차례의 연장으로 총 연장 57.4km, 34개 역을 운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매봉역 상행선 열차 고장2025.07.02 저녁이 발생하면서 안전 및 대체 이동 경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지하철 3호선은 출퇴근 시간대 2.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1일 평균 104만 명이 이용합니다.” – 서울교통공사 자료2025
아래에서 3호선 이용에 필요한 모든 실용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
① 3호선 노선도 및 주요 환승역
(이미지: 나무위키)
• 고속터미널역 — 3·7·9호선
• 교대역 — 2·3호선
• 연신내역 — 3·6·경의중앙선
• 수서역 — 3·수서~평택 SRT
② 첫차·막차 시간 (연신내역 기준)
• 첫차 : 대화행 05:32, 오금행 05:53
• 막차 : 대화행 00:07, 오금행 23:46평일
정확한 시간은 서울교통공사 앱 또는 카카오·네이버 지하철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시길 권장합니다.
③ 실시간 알림·지연 시 대처법
매봉역 고장처럼 상행선 지연이 발생하면, 네이버 지하철 ‘운행정보’에서 평균 복구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강남~양재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버스 402·9401로 우회 가능합니다.
④ 연장·개통 계획
• 하남 교산신도시 연장 – 2029년 목표
• K-스타월드 경유선 – 예비타당성 조사 중
• 경기도청신청사(광교) 연결 타당성 재검토 진행
이현재 하남시장은 “3호선·9호선 조기 개통을 통해 1인당 GRDP를 두 배로 끌어올리겠다”라고 밝혔습니다.
⑤ 3호선 주변 생활·문화 핫플레이스
• 고속터미널 셔터족 – 센트럴시티·고투몰 쇼핑 거리
• 안국역 북촌한옥마을 – 전통 한옥과 갤러리
• 신사역 가로수길 – F&B·패션 트렌드
⑥ 3호선 이용 꿀팁
1️⃣ 강북↔강남 출퇴근 시 3·4호차가 교대·고속터미널 환승 통로와 가장 가깝습니다.
2️⃣ 일·공휴일은 배차간격이 5.5분까지 늘어나므로 타임테이블 확인이 필수입니다.
⑦ 안전·편의 시설
• 전 역사에 와이파이 6E 지원 AP 설치 완료2024
• 매봉·대청·도곡역 등 6곳에 스마트 스크린도어 도입
• 모든 객차에 CCTV 4대 이상 장착
⑧ 3호선과 친환경 트렌드
서울교통공사는 재생전력 회생제동 시스템으로 2024년 한 해에만 약 1만2천t의 CO₂ 감축 효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30년산 소나무 180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다는 설명입니다.
⑨ 잦은 질문 FAQ
Q. 3호선 ‘급행’은 없나요?
A. 현재는 없습니다. 다만 수서~대화 광역급행 계획이 장기적으로 검토 중입니다.
Q. 반려동물 동반 승차?
A. 가방·케이지에 넣으면 무료 승차가 가능합니다.
⑩ 기자 총평
이번 매봉역 고장은 노후 전동차 교체 필요성을 다시 한 번 드러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2026년까지 전동차 228편성을 신형으로 교체해 3호선의 안전·정시성·쾌적성을 한층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용자 여러분께서는 실시간 운행 정보를 활용해 불편을 최소화하시고, 3호선 연장 사업이 가져올 생활권 변화에도 미리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