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 보유자에게 과세됩니다. 2025년 7월 정기분 고지서가 각 지자체에서 발송됨에 따라 세금 신고·납부 준비가 본격화됐습니다.


납부기한은 7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입니다.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 3%가 부과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주택분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이면 7월에 전액 부과, 20만 원 초과이면 7월·9월에 1/2씩 분할 부과됩니다.


1. 납부 방법 한눈에 보기

• 전국은행 CD/ATM 현금·신용카드
• 인터넷 납부: 위택스(WeTax)·인터넷지로(GIRO)
• 간편결제: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 가상계좌·지방세입계좌 이체
• ARS(☎ 지방세 대표번호) 카드납부

특히 재산세 카드납부납부대행 수수료가 없어서 카드 혜택을 100% 누릴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2. 카드혜택으로 절세하기

💳 신용·체크카드 납부 시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데다, 각 카드사 포인트·캐시백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7월 재산세 50만 원을 ‘A카드’로 결제하면 2% 적립률 기준으로 10,000P가 자동 적립돼 실질 부담을 낮출 수 있습니다.


3. 1세대 1주택자 세부담 완화 정책

정부는 2023년부터 적용한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하(3억 원 이하 43% 등)를 2025년에도 유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1주택자는 지난해 대비 세부담이 완화된 효과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가·다주택 보유자의 경우 종합부동산세재산세가 합산되므로 세액 변화 추이를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4.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

  • 소유권 이전일과 무관하게 6월 1일 소유자에게 납세의무 발생
  • 착오송금·이중 납부 시 위택스에서 간편 환급 신청 가능
  • 체납 시 압류·공매 등 불이익, 분할납부·자동이체로 연체 예방

5. 지역별 동향

세종시는 올해 7월 재산세 630억 원을 부과했고, 경기도 31개 시·군은 총 2조 1,230억 원을 고지했습니다. 신규 아파트 입주·산업단지 준공이 세수 증가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세종시 재산세 부과
▲ 이미지 출처: 충청메시지

미국의 경우 뉴저지가 평균 9,345달러로 주별 재산세 최고 수준을 기록, 국내보다 세율 격차가 큰 편입니다.


6. 절세 전략 & 체크리스트

  1. 공동명의 → 단독명의 전환 시 세액 변동 시뮬레이션
  2. 주택임대사업자 등록으로 재산세 감면 대상 여부 확인
  3. 에너지효율·녹색건축 인증 건물은 일부 지방세 감면 가능

미국 재산세 비교
▲ 이미지 출처: Newswave25


7. FAQ

Q1. 납부기한을 놓치면?
A. 3% 가산세 + 세액에 따라 중가산금(1개월당 1.2%)이 부과됩니다.

Q2. 위택스 오류로 결제 실패 시?
A. 다른 브라우저·모바일 앱 시도 후에도 실패하면 관할 세무부서로 문의해 ARS 납부 또는 가상계좌 이체를 권장합니다.

Q3. 다주택자 중과 여부?
A. 재산세는 다주택 중과 규정이 없으며, 종부세에서 중과됩니다.


8. 체크포인트 요약

• 납부기한 7.16~7.31
• 카드납부 수수료 0원, 포인트 챙기기
• 20만 원 초과 주택분 7·9월 분할
• 체납 시 가산세 3%
• 위택스·간편결제앱 이용 시 24시간 납부 가능

💸 알뜰한 세(稅)테크는 작은 차이가 큰 절세로 이어집니다. 올해 재산세를 똑똑하게 관리해 경제적 여유를 확보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