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송참사 2주기가 다가오면서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에는 다시 한 번 묵직한 침묵이 드리웠습니다.
이곳은 2023년 7월 15일 기록적 폭우 속에 순식간에 물이 차올라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친 대형 재난의 현장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2주기를 하루 앞둔 14일 현장을 찾아 헌화하며 “재난 관리에 실수란 있을 수 없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1관리 부실로 인한 인명사고는 엄격히 처벌해야 합니다.” – 이재명 대통령(2025.07.14 오송 현장 발언)
대통령실에 따르면 환경부와 충청북도는 제방 붕괴 원인·배수 시스템 개선 현황을 보고했고, 대통령은 배수 펌프 가동 상태와 경보 체계 작동 여부까지 직접 점검했습니다.
⚠️ 오송참사 이후 정부·지자체는 지하차도 610곳을 전수 조사하고, 위험 등급 상위 10% 구간에 실시간 수위 센서와 차단기를 설치했습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사전 통제 속도를 평균 15분 단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희생자 유가족들은 근본적 재발 방지책과 함께 공직자 문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합니다.
실제 관련 공무원 11명 가운데 1명만이 파면됐고, 나머지는 정직·감봉 등에 그쳤습니다.
🙇♂️ 2주기 추모 기간(7.7~7.15) 중 김영환 충북지사가 시의원들과 술자리를 가진 사실이 알려지며 도민 정서를 거스른다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추모 기간에 걸맞은 책임 행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동아일보
▲ 이미지 출처 : KBS 충북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심화로 극한 호우 발생 빈도가 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스마트 홍수 예·경보 시스템 확대가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특히 ICT 기술을 활용해 도로·하천·제방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기반 위험 예측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올해 안에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을 추진해 지자체장의 대응 의무와 재난 초동 조치 기준을 명문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지하차도·지하상가 특별법” 제정 논의도 병행돼, 위험 시설의 즉각 차단 권한을 현장 경찰·소방에게 부여하는 방안이 검토 중입니다.
한편 오송 지하차도는 최근 경보 사이렌·LED 전광판·자동 차단막을 갖춘 모습으로 탈바꿈했지만, 주민들은 “경각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주민 A씨는 “비가 오면 여전히 두려움이 먼저 듭니다”라며 심경을 전했습니다.
💡 전문가 Tip : 집중호우 시 지하차도·지하주차장·하천 산책로는 즉시 피해야 하며, 내비게이션 통제 알림과 지방자치단체 재난 문자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차량 운전 중 침수 깊이가 30cm를 넘으면 시동이 꺼질 수 있으므로 회피 운전이 최선의 대응입니다.
🙏 이번 오송참사 2주기는 안전 사회를 향한 경고음이자, 재난 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할 마지막 기회일지 모릅니다.
정부·지자체·시민 모두가 교훈을 실천할 때만이 “또 다른 희생은 없다”는 약속이 현실이 될 것입니다.
⚖️ 기억을 행동으로, 추모를 안전으로 전환할 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