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브이슈KR 단독 심층리포트
삼부토건이 다시 핫 이슈의 중심에 섰습니다.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검이 전·현직 경영진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핵심 피의자 이기훈 부회장이 실질심사에 불출석하며 도주 정황까지 포착됐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의 흐름, 기업 개요, 최근 주가, 투자 리스크, 향후 변수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특검은 삼부토건 경영진이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 호재를 내세워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린 뒤 369억 원의 부당 이득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특검 관계자 브리핑 中
1️⃣ 삼부토건이란?
1960년대 설립된 삼부토건은 도로·토목·주택 등 종합 건설을 주력으로 해왔습니다. 한때 서초동 로비설로 구설에 오른 ‘옛 삼부토건(조남욱 회장 체제)’과, 2020년대 새 주인 아래 인수된 ‘새 삼부토건’으로 구분됩니다.
- 시가총액: 약 4,000억 원(2025.7.17 기준)
- 상장시장: 코스피(001470)
- 최근 52주 주가 변동폭: 1,300원 ↗ 6,960원
2️⃣ 주가조작 의혹 핵심 타임라인
- 2023.05 – ‘폴란드·우크라이나 재건 포럼’서 MOU 6건 체결 발표
- 2023.05~06 – 우크라 호재 기사·SNS 홍보로 주가 400% 급등
- 2023.06 – 경영진‧특수관계인 지분 대량 매도, 369억 차익 실현
- 2025.07.03 – 김건희 특검 정식 수사 착수
- 2025.07.14 – 이일준 회장·이기훈 부회장 등 4인 구속영장 청구
- 2025.07.17 – 영장실질심사 예정 이기훈 불출석 ➜ 특검 “도주 판단” 공식 발표
3️⃣ ‘우크라이나 재건’은 허상이었나?
노컷뉴스 단독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 지방정부는 삼부토건 측에 후속 면담을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회사 측이 ‘일정 불가’를 이유로 거절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허위‧과장 공시’ 가능성으로 해석합니다.
4️⃣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 무엇이 핵심인가?
여권 관계자·블랙펄인베스트 고문 등 ‘건진법사 라인’이 삼부토건 IR 행보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이어집니다. 특검은 김 여사와의 직접적인 금전 흐름 여부, 주식 계좌 실소유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5️⃣ 현재 주가와 투자자 유의 사항
17일 장중 -18% 급락 후 반발 매수로 낙폭을 일부 회복했으나, 거래정지 가능성·상장폐지 실질심사 사유가 검토될 수 있어 고위험 구간입니다.
⚠️ 투자 팁
· 단기 반등은 ‘숏커버’ 비중이 커 변동성 극심합니다.
· 특검 수사 결과·거래소 심사 일정 체크 필수입니다.
6️⃣ 삼부토건 재무 건전성 체크
구분 | 2023 | 2024 |
---|---|---|
매출액 | 4,812억 | 5,024억 |
영업이익 | △312억 | ▲24억 |
부채비율 | 382% | 347% |
적자 폭은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부채비율이 부담입니다.
7️⃣ 향후 변수 3가지
- ① 영장 결과: 구속 시 경영 공백 및 대주주 지분 매각 리스크
- ② 특검 기소 범위: 김건희 여사 소환 여부가 시장 심리에 결정적
- ③ 거래소 제재: 허위공시 판단 시 최대 상장 폐지까지 가능
8️⃣ 업계·정가 파장 전망
건설업계는 ‘우크라 재건’ 수혜 기대감이 크게 꺾였으며, 정치권에서는 ‘대선 자금 의혹’으로까지 번질 조짐입니다. 여야는 특검 연장·증인 채택을 두고 강대강 대치를 예고했습니다.
9️⃣ 결론 및 체크리스트
삼부토건 이슈는 단순한 한 기업의 주가조작을 넘어 정치·경제·외교가 복합적으로 얽힌 사례입니다. 투자자는 거래정지 리스크, 국민은 정치적 책임 소재, 정부는 우크라 재건 외교 등 다층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특검 수사·법원 결정·거래소 심사 등 후속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하겠습니다. 알림 설정을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