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후보자가 ‘교육부 장관 임명’을 앞두고 정치권·학계·시민사회의 집중 검증을 받고 있습니다. 📚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출신인 그는 지난 7월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 논문 표절’‧‘조기 유학’ 등의 의혹으로 곤혹을 치렀습니다.
대통령실은 20일 강선우·이진숙 후보자 임명 여부를 논의하며 ‘임명 강행’과 ‘지명 철회’ 사이에서 저울질했습니다.①
특히 여권 내부에서도 “우린 윤석열 정권과 달라야 한다”는 공개 사퇴 요구(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가 나와 파장이 커졌습니다. ⚖️
“지금이라도 국가와 교육의 미래를 위해 현명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 강득구 의원
논란의 핵심은 표절·부당 저자 표시입니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 관행”으로 해명했지만, 과거 교육부는 비슷한 사안에 징계를 내린 전례가 있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진보 성향 교수단체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민교협)는 “교육장관 자격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서울시교육감 역시 “교육 수장에게 요구되는 윤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사퇴를 권고했습니다. 📢

지역 사회도 술렁입니다. 대전·충청권 동문‧시민단체들은 “충남대 이미지 훼손”을 우려하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정치적 부담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임명 강행 시 이재명 정부의 ‘공정·상식 인사 원칙’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학계 일각에서는 “해외공동 연구 실적과 스마트건축 공정 분야 전문성이 뛰어나다”는 옹호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만약 지명이 철회된다면 교육부 수장은 한 달 넘게 공백이 이어지고, ‘서울대 10개 만들기’ 고등교육 개혁 일정도 지연될 전망입니다.
반대로 임명 강행 시 야당과 시민사회의 거센 반발, 향후 국회 국정감사의 집중 타깃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
전문가들은 “연구 윤리 및 고등교육 재정 개선을 동시에 추진할 장관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결정이 교육계 신뢰 회복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대통령실은 여론 수렴 결과와 검증 보고서를 바탕으로 임명 여부를 조만간 최종 발표할 예정입니다. ⏰
라이브이슈KR은 ‘이진숙 후보자’ 동향을 지속 추적해 최신 업데이트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