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박찬욱 감독, 12번째 장편 ‘어쩔수가없다’로 돌아오다

한국 영화계가 다시 한 번 박찬욱이라는 ‘명장’의 이름으로 들썩입니다. 신작 ‘어쩔수가없다’가 제82회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되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 왜 ‘어쩔수가없다’인가?

영화는 미국 범죄 소설가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의 장편 『The Ax』를 원작으로 합니다. 박찬욱 감독은 동일한 구조를 ‘한국형 스릴러’로 변주해 실직·경쟁·도덕적 파국이라는 묵직한 화두를 던집니다.

할 수밖에 없었던 선택, 어쩔수가없다는 인간의 양면성을 조명하고 싶었습니다.” — 박찬욱 감독 기자간담회 中

원작 배경이 미국 산업도시라면, 영화는 울산·포항 일대 철강벨트로 옮겨와 더욱 생생한 현실감을 제공합니다.


2. 초호화 캐스팅: 이병헌×손예진

실직 후 극단적 선택으로 치닫는 ‘백도현’ 역에는 이병헌, 도현의 윤리적 거울이 되는 파트너 ‘최연수’ 역에는 손예진이 캐스팅됐습니다. 두 배우의 조합은 “믿고 보는 박찬욱 유니버스”라는 관객 기대를 폭발시켰습니다.

베니스영화제 초청 공식 스틸
▲ 출처: 조선일보 / Moho Film

여기에 염혜란·이성민·차승원 등이 가세해 ‘완전체 군단’을 완성했습니다.


3.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13년 만의 쾌거 🇮🇹

베니스 영화제 경쟁 초청은 한국 영화로서는 2012년 김기덕 감독 ‘피에타’ 이후 13년 만의 성과입니다. 이는 올해 칸 국제영화제 초청 실패로 침체된 한국 영화계에 ‘희망의 신호탄’으로 평가받습니다.

기자회견 중인 박찬욱 감독
▲ 출처: 경향신문 / 연합뉴스


4. 티저 예고편 공개 후 폭발적 반응 🔥

21일 자정 공개된 1분 30초 분량의 티저는 공개 12시간 만에 500만 뷰를 돌파했습니다. SNS에서는 “#어쩔수가없다_포레버” “#박찬욱_믿듣보” 같은 해시태그가 급상승해 실시간 검색어를 장악했습니다.

특히 붉은 조명 속 도현(이병헌)이 잔혹한 선택 앞에서 망설이는 장면‘올해의 명장면’ 후보로 벌써 거론되고 있습니다.


5. 제작 비하인드: “할리우드 못지않은 스케일”

총제작비 320억 원, 8K 카메라 6대 동시 촬영, 국내 최초 볼류메트릭 캡처 스튜디오 활용 등 첨단 기술이 투입됐습니다. 모호 필름워너브러더스 코리아가 공동 투자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했습니다.


6. 주제 해부: ‘가족’과 ‘세계 경제’의 교차로

영화는 IMF 이후 고용 불안생존 경쟁을 정면으로 다룹니다. 박찬욱 특유의 도발적 미장센아이러니한 유머가 결합돼 ‘블랙코미디 스릴러’라는 독특한 장르를 완성했습니다.


7. 박찬욱 필모그래피 속 진화

  • 復讐 삼부작 – ‘공동경비구역 JSA’부터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 멜로×스릴러 – ‘아가씨’
  • 로맨스 느와르 – ‘헤어질 결심’
  • 사회파 스릴러‘어쩔수가없다’

각 작품마다 장르를 확장해 온 감독의 발자취가 이번 작품으로 절정에 달했다는 평가입니다.


8. 산업적 기대: ‘추석 대작’ & OTT 동시 공략

9월 25일 극장 개봉 후 45일 내 티빙 단독 서비스를 예고했습니다. 이는 극장-OTT 윈도 전략으로, 팬데믹 이후 관객 분산을 최소화하는 모델로 주목받습니다.


9. 전문가 한마디

김영진 영화평론가중앙대 교수: “‘어쩔수가없다’박찬욱 영화 세계의 총체. 미학·상업성을 모두 잡은 ‘포스트 팬데믹 시대 한국 영화의 해답’이 될 것입니다.”


10. 관객이 기대해야 할 3가지

  1. 이병헌·손예진의 파괴적 케미
  2. ‘철강도시’의 거칠고 아름다운 시네마스코프
  3. 베니스 수상 시 한국 영화 자존심 회복

맺음말 🌟

박찬욱이라는 이름은 이미 브랜드입니다. ‘어쩔수가없다’는 그 브랜드가 가진 실험성·대중성·예술성을 절묘하게 응축한 작품으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올가을, 한국 영화사에 또 하나의 굵직한 획을 그을 준비를 마쳤습니다.

✔️ 추가 정보·예매 링크는 라이브이슈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