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삼성전자 주가가 다시 한 번 ‘반등 모멘텀’을 찾고 있습니다. 28일 오전 코스피 시장에서 삼성전자(005930)는 전일 대비 3% 넘게 상승하며 6만 7,900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이미지 출처 = 조선비즈

이번 랠리는 22조 8,000억 원 규모의 파운드리 신규 계약 체결 소식이 직접적인 촉매였으며, 하반기 ‘갤럭시 Z 폴드7·플립7’ 흥행 기대, 그리고 3D 패키징 양산 로드맵 가시화가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 1) 주가 흐름 요약
– 7월 24~26일 기관 매도세로 6만 5,000원대까지 밀렸습니다.
7월 28일 대형 수주 공시 직후 외국인 순매수 전환으로 장중 6만 8,000원을 터치했습니다.

🗓️ 최근 5거래일 변동률 : -1.2% → +3.3% → +0.5% → +3.0% → +3.03%


📈 2) 파운드리 수주의 의미

“이번 계약은 EUV(극자외선) 2나노 공정 물량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고부가가치 매출 확대를 예고합니다.” – 업계 관계자

대만 TSMC와의 격차를 줄이는 게임 체인저로 평가되며, 장기적으로 영업이익률 20% 회복 전망에 힘을 실었습니다.


🌐 3) 반도체 업황 개선
글로벌 메모리 가격은 6월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특히 HBM3e 수급이 타이트해지며 삼성전자 주가에 업사이드 리스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이미지
이미지 출처 = Investing.com


🚀 4) 3D 패키징 전략
AI 연산용 고대역폭 메모리와 로직 칩을 수직 적층하는 X-Cube 3D 패키징 양산 계획이 공개됐습니다. 이는 애플, 엔비디아, AMD 등 팹리스 고객사 확대에 결정적이라는 분석입니다.


📊 5) 재무 지표 체크
PER 15배, PBR 1.6배로 글로벌 피어 대비 할인 상태입니다. 2024년 예상 DPS는 1,416원, 배당수익률은 2.1%로 현금 흐름 방어 매력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 6) 투자자 주의 요인
– 파운드리 수율 안정화 지연 시 단기 조정 가능성
노조 파업 재개·미국 관세 협상 변수는 변동성 확대 요인입니다.
– 엔비디아 HBM 물량 배정 결과에 따른 실적 서프라이즈·쇼크 가능성도 주시해야 합니다.


🔍 7) 전문가 시각 및 목표가
국내 34개 증권사 평균 목표가는 8만 3,000원입니다. 일부 하우스는 파운드리 계약 반영 시 ‘9만 전자’ 시나리오도 제시했습니다.

리서치 리포트
이미지 출처 = Goover.ai


📝 투자 체크리스트
1. HBM3e 증설 CAPEX 스케줄 확인
2. 3분기 DRAM 출하량 가이던스
3. 갤럭시 Z 폴드7 초기 판매량
4. 한·미 통상 협상 결과
5. 달러/원 환율 1,350원 돌파 여부


🎬 결론삼성전자 주가는 메모리 업황 바닥 통과와 파운드리 대형 수주로 중장기 ‘업사이드’가 열렸습니다. 다만 단기 급등 피로감과 대외 변수에 따른 조정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라이브이슈KR 류준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