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백 YTN 사장이 2025년 7월 28일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했습니다.
취임 1년 3개월 만의 돌연한 사임 결정은 언론계와 정치권 모두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타깃 키워드: 김백, YTN 사장, 사임
ⓒ 연합뉴스 제공
YTN 이사회 운영 규정 제5조에 따라, 차순위 사내이사가 당분간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직무를 대행합니다.
이번 사임 배경에는 노조와의 갈등, 민영화 이후 경영 비전, 유진그룹 지배구조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사내 구성원과 시청자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 김백 전 사장 사임 메시지 중
언론노조 YTN지부는 즉각 성명을 내고 “경영 공백 방지와 공적 책임 회복”을 촉구했습니다.
반면 유진그룹 측은 “임기 단축은 개인적 판단”이라며 조직의 안정적 인수·합병 기조는 변함없다는 입장입니다.
정치권에서는 공영성·편집권 독립 논의가 재점화됐습니다. 여야 모두 청문회·청원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
ⓒ MBC 뉴스 캡처
후임 인선 절차는 최소 2개월 이상 소요될 전망입니다. 사외이사 추천→공개모집→주주총회 의결의 3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시장에서는 포스트 김백 후보로 내·외부 언론인 5~6명이 거론되고 있으나, 유진그룹 지배구조 개선 요구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경영 리스크가 심화될 경우 시청률·광고매출이 단기간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합니다.
ⓒ 노컷뉴스 제공
실제 YTN 주가는 사임 보도 직후 3% 가까이 하락했다가 방어 매수로 소폭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시청자 권익단체는 “공영성 회복을 위한 ‘시민 편집위원회’ 상설화를 요구”하며 규제기관의 적극적 감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언론학계는 YTN 민영화 구조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뉴스 콘텐츠 중립성 확보 장치가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또한 부당전보·평가제 문제 등 사내 갈등 이슈가 지속될 경우, 후임자 임기 역시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특정 주주 영향력에 대한 실태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핵심 정리👉 김백 YTN 사장 1년 3개월 만에 사임 → 차순위 사내이사 대행 체제 → 노조·주주·당국 3각 압박 속 후임 인선 난항 예상
라이브이슈KR은 후속 절차·정치적 파장을 밀착 취재해 독자께 신속·심층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