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가 친환경 철강 중심의 성장 전략과 글로벌 채용 확대, 그리고 DX(디지털 전환) 투자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첫째, 철강 본업에서의 변화가 두드러집니다. 포스코는 ‘HyREX’ 수소환원제철 공법을 고도화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고로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8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사와 차별화된 강점을 보입니다.
둘째, 2차전지 소재 자회사 포스코퓨처엠(POSCO Future M)이 음극재·양극재 생산 설비를 증설하며 배터리 밸류체인 확장을 주도합니다. 이는 포스코그룹이 ‘친환경 신소재 기업’으로 재편되는 핵심 축입니다.
이미지 출처: POSCO Newsroom
셋째, 포스코 채용 소식이 구직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3일 기준 POSCO RECRUIT에는 ‘2025년 생산기술직 경력기반 신입사원 채용’ 공고가 게재됐습니다.
특히 미국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미주 지역 해외 채용도 동시에 진행돼, 글로벌 인재 확보에 속도가 붙었습니다.
넷째, 직원 복지 측면에서 급식 전문 자회사 포스웰이 AI 기반 식단 추천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 이는 임직원 만족도를 높여 ESG 경영의 ‘사회적 가치’ 부문을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사람 중심, 기술 중심, 지구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 포스코 관계자
다섯째, DX 투자도 주목할 만합니다. 포스코DX는 인천국제공항 BHS(수하물처리시스템) 4단계 사업에 참여해 AI 진단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이는 그룹 차원의 스마트팩토리 역량을 공항 인프라 분야로 확장한 사례입니다.
⚙️ 같은 기술은 포항·광양 제철소의 설비예측보전에 이미 활용 중이며, 장애 발생률을 30% 이상 감소시켜 생산 효율을 끌어올렸습니다.
여섯째, 투자자라면 포스코 주가 흐름도 궁금할 것입니다. 3일 장 마감 기준 포스코홀딩스(005490)는 291,500원으로 전일 대비 –5.83%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시황조사 업체 CompaniesMarketCap에 따르면 포스코의 시가총액은 157억 달러로 세계 1,278위에 올라 있어, 장기적 가치는 견조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일곱째, 공급망 측면에서 리튬·니켈 자체 조달 전략도 가시화됐습니다. 아르헨티나 살타(Salta) 염호 프로젝트가 2026년 본격 가동될 경우, 포스코는 연간 4만 톤의 리튬을 자체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배터리 소재 수직계열화 완성과 동시에, 원자재 가격 변동 리스크를 완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덟째, ESG 평가도 긍정적입니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World’ 부문에 18년 연속 편입됐으며,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영역에서 상위 10% 성과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수소환원제철 R&D와 해수 담수화 기술은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혁신 사례로 꼽힙니다.
아홉째, 산업 생태계 확장도 빠릅니다.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과 맺은 장기 공급 계약은 양사 모두의 배터리·전기차 밸류체인 안정성 확보에 핵심적입니다.
또한 협력 대학인 포스텍(POSTECH)에 ‘AI 융합 철강연구소’를 설립해, 차세대 소재 연구 인프라를 확충했습니다.
열째, 주주환원 정책도 강화됐습니다. 작년 배당성향은 38%로 확대됐으며, 분기 배당제 도입이 검토 중입니다. 전문가들은 현금 흐름이 탄탄한 점을 감안할 때 중장기 투자 매력이 높다고 분석합니다.
📈 포스코는 ‘Steel to Solution’ 전략을 통해 고부가가치 방향성 전환을 시사하며, 향후 스마트 그린 제조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포스코의 비전 2030은 세 갈래로 요약됩니다.
① 친환경 철강 리더십 강화
② 이차전지 소재 글로벌 Top Tier 달성
③ AI·DX 기반 스마트경영 완성
🔔 업계 관계자는 “기술·인재·지속가능성 삼박자를 갖춘 포스코의 행보가 한국 산업 전환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앞으로도 포스코 관련 주요 이슈와 채용 정보, 주가 동향을 라이브이슈KR이 신속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