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희건설 본사 압수수색…의혹은 어디까지 번질까?
| 라이브이슈KR 이한빛 기자
📌 11일 오전, 특검 수사관들이 서울 양재동 서희건설 본사에 진입했습니다. 건물 셔터는 주말부터 내려져 있었고, 직원들은 외부인 접촉을 일체 차단한 상태였습니다.
특검팀은 “2022년 나토(NATO) 순방 당시 김건희 여사가 착용한 6,200만 원대 반클리프앤아펠 ‘스노 플레이크’ 목걸이의 구매 주체가 서희건설이라는 정황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제기된 의혹은 사실무근이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습니다.” — 서희건설 관계자
그러나 특검은 주말 동안 이뤄진 본사 폐쇄 조치를 ‘증거 인멸’ 시도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대표이사 자택과 재무팀 전산실도 포함됐습니다.

앞서 특검은 반클리프앤아펠 주요 매장 3곳을 압수수색해 ✓판매‧결제 내역 (2022.05~2022.07), ✓VIP 고객 리스트, ✓해당 목걸이 시리얼 번호를 확보했습니다.
매장 POS 기록에선 ‘SEOHUI CONSTRUCTION’ 법인카드 승인 내역이 확인됐고, 카드 사용 시점은 대선 직후로 드러났습니다.
🏢 내부 압수품 가운데는 목걸이와 함께 결제된 고가 시계 보증서가 포함돼 있었습니다. 특검은 “뇌물성 증여 여부를 집중 규명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으로 급성장한 중견 건설사입니다. 2024년 기준 시공능력평가 40위권이지만, 최근 잇단 논란으로 경영 리스크가 커지고 있습니다.

📈 11일 공정거래위원회도 하도급대금 1억 1,000만 원 및 지연이자 900만 원 미지급 사실을 적발해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부과했습니다. 서희건설은 용인 지역주택조합 비리로 이미 검찰 기소가 진행 중이어서, ‘악재 중첩’ 양상을 띱니다.
시장에서는 “법률·재무 리스크가 부동산 경기 침체보다 더 큰 변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 법조계 관계자는 “특검이 뇌물 혐의를 적용할 경우 건설산업기본법상 입찰 제한도 가능해진다”면서 “회사 존립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정치권 반응도 뜨겁습니다. 야당은 “대통령 배우자 관련 로비 수사가 본류”라며 국정조사를 요구했고, 여당은 “풍문만으로 기업을 매도해선 안 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 업계는 ‘컴플라이언스 강화’를 생존 전략으로 제시합니다. 한 대형 건설사 임원은 “ESG 평가에서 지배구조(G) 가중치가 커졌다”며 “리스크 관리 없이 해외 수주도, 금융 조달도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조합원·분양계약자에게 “서희건설 프로젝트 진행 상황, PF 대출 만기, 하도급 대금 지급 이력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실제로 올 8월 2주 차 기준 서희건설 채권 CDS 프리미엄은 전주 대비 18bp 상승했습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단기 차환 비용 부담이 커질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회사 측은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9월 예정이던 ‘양재 그린오피스’ 착공도 지연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한편 SNS와 커뮤니티에는 ‘기업 압수수색 현장 영상’이 급속도로 퍼졌습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추측·가짜 뉴스는 형사처벌 가능성”을 경고하며 신중한 정보 소비를 당부했습니다.
특검 관계자는 “수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브리핑할 계획은 없다”며, “결과로 말하겠다”고만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서희건설은 14일 오전 긴급 이사회를 열고 ‘컴플라이언스위원회’ 신설 및 외부 회계·법무 자문단 영입을 결의할 예정입니다. 이는 ‘리스크 차단용 방화벽’으로 해석됩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특검 수사 결과와 공정위 추가 제재 여부를 면밀히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전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