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 이후 ‘정론직필(正論直筆)’ 정신으로 한국 현대사를 기록해 왔습니다. 104년의 시간 동안 정치·사회부터 문화·스포츠까지 전방위 이슈를 다루며, 국내 대표 종합 일간지 위상을 공고히 했습니다.
일제강점기 동아일보는 독립운동 소식을 전하며 검열과 정간을 수차례 겪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오늘날에도 언론 자유를 수호하려는 공정 보도의 뿌리가 되고 있습니다.
해방 이후에는 6·25전쟁, 산업화·민주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전하며 ‘기록의 보고(寶庫)’ 역할을 했습니다. 동아일보 기사 아카이브는 연구자와 학생이 즐겨 찾는 1차 사료로 꼽힙니다.
섹션과 채널도 시대 흐름에 맞춰 확대됐습니다. 정론지 본연의 정치·사회 면 외에 경제·국제·스포츠·문화·과학 등 25개 섹션을 운영하며, 2025년 현재 700명 이상 취재진이 전국·전세계 현장을 누비고 있습니다.
💡 디지털 전환에 가장 적극적인 신문사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1995년 국내 일간지 최초로 ‘동아닷컴’을 열었고, 최근에는 모바일 앱·뉴스레터·팟캐스트·Threads·X(트위터) 등 멀티 플랫폼으로 독자를 만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는 ‘정확한 팩트’와 ‘다양한 시각’을 한데 녹여 균형 잡힌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동아일보 편집국
탐사보도팀이 주도한 ‘BBK 의혹 내부 문건 단독’·‘가습기 살균제 참사 연속 보도’는 사회 변화를 이끌며 언론상 50여 개를 수상했습니다. 이는 탐사 저널리즘을 강화한 대표 사례로 회자됩니다.
독자 참여형 ‘D-리포터’ 제도도 눈에 띕니다. 시민이 제보한 데이터·사진·영상이 기사에 반영돼 양방향 뉴스 생태계를 완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체류 시간을 늘리며 SEO 측면(검색 가시성)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콘텐츠 다양화 전략으로 ‘동아TV’, 오디오 플랫폼 ‘동아 라디오’, 프리미엄 경제 매거진 DBR(동아비즈니스리뷰) 등을 운영해 ‘One Source Multi Use’ 모델을 정착시켰습니다.
사진=동아닷컴 캡처
구독 방식은 지면·디지털 통합 상품, 디지털 Only, 기업·학교 단체 구독으로 세분화돼 있습니다. 신용카드 간편결제·마일리지 적립 시스템을 도입해 구독 장벽을 낮췄습니다.
AI 기술도 적극 도입했습니다. 자체 개발한 ‘D-AI’가 독자 선호도를 분석해 맞춤형 기사를 추천하고, 챗봇이 24시간 문의를 응대합니다. 이는 페이지뷰 증대 및 광고 효율을 높이는 핵심 동력입니다.
물론 동아일보는 편향 논란이나 관점 차이로 인한 비판도 받아왔습니다. 사측은 ‘옥에 티 제로화’ 캠페인과 외부 옴부즈맨 제도를 통해 신뢰 회복에 나서고 있습니다.
사회공헌에도 힘을 쏟습니다. ‘동아 장학회’, ‘청소년 글쓰기 대회’, 기후 행동 캠페인까지 연간 20여 개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선한 영향력’ 확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독자가 동아일보를 120% 활용하려면 ① 키워드 알림 설정, ② 기사 스크랩 보관함, ③ 동아 인포그래픽 자료실, ④ 전문 기자 SNS 팔로우를 추천합니다. 이는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 앞으로 동아일보는 생성형 AI·AR/VR 뉴스룸 구축,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구독자 커뮤니티 강화로 ‘다음 100년’을 설계 중입니다. 변화 속에서도 ‘정론직필’ 가치는 흔들림 없이 이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