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브이슈KR 📰 | 정치부 취재팀입니다.
대통령실이 13일 오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원민경 변호사를 지명했습니다. 이번 인사는 새 국정과제 추진 동력을 확보하려는 개각의 핵심 카드로 평가받습니다.
▲ 사진 출처 : 한국경제
원민경 후보자는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내며 사회적 약자 보호 정책에 집중해 왔습니다. 법률가로서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동시에 갖춘 점이 이번 발탁의 배경으로 거론됩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청소년·가족·젠더 정책을 아우르는 통합 리더십이 필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새 정부의 여성‧청소년 정책을 혁신하겠습니다.” – 원민경 후보자 인사 소감*
후보자는 짧은 소감에서 ‘돌봄 공백 해소’와 ‘디지털 성범죄 근절’을 1순위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① 학력·경력
• 사법연수원 수료 후 공익전담 변호사로 활동했습니다.
•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으로 3년간 재직하며 난민·장애인 인권 의제를 다뤘습니다.
• 법무법인 ‘가온’ 파트너 변호사로서 성폭력 피해자 지원 사건을 다수 수임했습니다.
② 주요 정책 지향
1. 저출생 대응 종합 패키지 – 돌봄 인프라 확충, 육아휴직 제도 개선
2. 디지털 성범죄 원스톱 보호체계 – 모니터링 AI 도입(시범)
3. 청소년 정신건강 네트워크 – 지역기반 상담센터 확대
▲ 국가인권위원회 회의장 모습 (출처 : 한겨레)
③ 국회 인사청문회 관전 포인트
첫째, 여성가족부 존폐 논쟁입니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조직 재편을 주장해 왔으나, 후보자는 “기존 기능 유지·강화” 입장을 밝힌 바 있어 청문회에서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
둘째, 예산 확보입니다. 지난해 부처 예산은 정부 총지출의 0.2% 수준에 그쳤습니다. 원민경 후보자가 설득력 있는 재정 청사진을 제시할지가 주요 변수입니다.
④ 쟁점·논란
• 인권위 재직 당시 ‘표현의 자유’ vs ‘혐오표현 규제’ 보고서 채택을 둘러싼 이견이 있었습니다.
• 일부 시민단체는 후보자의 ‘젠더갈등 완화 전략’ 구체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합니다.
대통령실은 “정책 전문성으로 검증받을 것”이라며 도덕성·위법 논란은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⑤ 앞으로의 과제
• MZ세대 맞춤 청년 정책 설계
• 국제협력 강화 – UN 여성지위위원회(CSW) 대응
• 지역 간 성평등 격차 해소 – 지방정부 협력 모델 발굴
정치권 관계자는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 문턱을 넘어선다면, 돌봄·청소년·젠더 정책에 속도를 낼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청문회 일정, 후보자 발언, 현안 과제 이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