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조현 외교부 장관한‧미 정상회담을 불과 나흘 앞둔 21일 전격적으로 미국 워싱턴DC로 향했습니다. 외교 당국은 “보다 면밀한 준비를 위한 사전 점검”이라고 설명했지만, 정치권과 외교가에서는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조현 장관 미국행사진=연합뉴스

조현 외교부 장관은 당초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에 이재명 대통령을 수행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방문 일정을 전격 취소하고 미국으로 직행해 외교가에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조현 외교부 장관 방미안보·경제 복합 의제를 최종 정교화하기 위한 ‘현장 컨트롤타워’ 차원”이라며 “특히 북핵 대응과 확장억제 실행력 보강, 통상 협력의 밸런스 확보가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미가 새롭게 추진 중인 반도체 공급망 연합 구상과 농축산물 시장 개방 이슈가 동시다발적으로 얽혀 있어, 장관급 조율 없이는 정상이 합의문에 서명하기 어렵다” – 외교 소식통

최근 트럼프 행정부(2기)는 농축산물 팩트시트 작성을 둘러싸고 추가 요구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양국 간 견해차가 불거지자 조현 장관 방미 카드가 급부상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안보 의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미국 측은 인도‧태평양 핵심 전략으로 한국의 대중(對中) 기술 규제 동참을 요청 중이며, 한국은 ‘경제 이익을 우선 보호’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 이는 정상회담 공동성명 문구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워싱턴 도착 장면사진=중앙일보

외교부 북미국 실무진은 이미 워싱턴 현지 태스크포스를 가동 중입니다. 조현 장관은 도착 직후 루비오 국무장관과 비공개 만찬 회담을 갖고 ▲확장억제 운용계획(EDP) ▲포괄적 전략동맹 로드맵 ▲경제안보 고위급 대화 신설 등을 막판 조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내 정치권은 이번 조현 외교부 장관 방미가 ‘외교 총력전’의 일환이라면서도, 혹시 모를 변수에 대비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차원의 청문 보고 채택을 예고했습니다.

전례를 살펴보면, 2014년 윤병세 장관이 오바마‧박근혜 정상회담 직전 방미해 사드THAAD 배치 논의를 급진전시킨 사례가 있습니다. 외교가는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의 결정적 합의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습니다.

긴급 현안 점검 회의사진=동아일보

워싱턴 일정 이후, 조현 장관은 뉴욕으로 이동해 유엔 안보리 비공식 회동에도 참석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이를 통해 ▲대북 제재 결의 이행 ▲우크라이나 사태 대응 공조 등 다자외교 무대에서도 존재감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학계 전문가들은 “조현 장관의 ‘퍼스트 무브’는 한‧미 간 사전 공감대를 높여 정상 간 허들을 낮출 전략적 선택”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동시에 “일본을 건너뛴 결정으로 한‧일 간 민감한 현안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무엇보다 국민 관심은 ‘정상회담 성과’에 집중됩니다. 방위비 분담·공급망·기후기술·우주협력 등 굵직한 어젠다가 합리적 균형점을 찾을 경우, 한국 외교 지평은 크게 확장될 전망입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조현 외교부 장관은 24일 새벽(한국 시각)까지도 미 행정부 고위 인사와 심야 협상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관계자는 “협상 윤곽이 잡히는 대로 대통령 전용기에 보고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외교가 한 관계자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신(新)안보 시대에 맞춘 포괄적 동맹을 가시화하는 분수령”이라며 “조현 장관의 현장 지휘가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우리 외교의 전략좌표가 재설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