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한국에서 숙청(Purge)이나 혁명(Revolution)이 일어나는 것 같다”고 발언했습니다.
발언 시점은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을 약 3시간 앞둔 때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공식 계정에 글을 올리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우리가 그곳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글은 곧바로 미‧한 주요 언론과 SNS에 퍼졌으며, “트럼프 트루스소셜”이라는 키워드가 단숨에 글로벌 실시간 검색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 1. 논란의 글 전문 요약
“WHAT IS GOING ON IN SOUTH KOREA? SEEMS LIKE A PURGE OR REVOLUTION. IN SUCH A SITUATION, WE CANNOT DO BUSINESS THERE!” – Truth Social, 2025.08.25
짧지만 강렬한 문장은 두 가지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첫째, 한국 내부 상황에 대한 의혹 제기입니다.
둘째, 경제적 협력 중단을 시사하는 경고입니다.
🗣️ 2. 한·미 외교 일정과 겹친 ‘타이밍’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습니다. 회담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나온 메시지라 더 큰 파장이 일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트루스소셜 게시물이 공식 계정인지 확인 중”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 3. 트루스소셜이란?
트루스소셜은 2022년 2월 트럼프 그룹 산하 ‘트럼프 미디어 & 테크 그룹(TMTG)’이 출시한 SNS입니다. 트위터 계정 정지 이후 트럼프의 주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월간 활성 이용자(MAU): 약 600만 명(2025년 6월 기준)
• 주요 기능: 게시글(Truth), 재게시(ReTruth), ‘Truth Score’ 추천 알고리즘
📊 4. 경제·시장 반응
트럼프 글 직후 코스피200 선물 야간장에서 0.8%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에서도 Korea ETF가 장중 1.4% 밀렸습니다.
기업들은 ‘사업 불확실성’ 언급에 긴장했습니다. 한 대형 전자업계 임원은 “한·미 공급망 협력 계획이 영향을 받을까 우려된다”고 말했습니다.
💡 5. 발언 해석
워싱턴 싱크탱크 CSIS의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특유의 협상 전략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국내 정치권은 “내부 사법 수사를 ‘숙청’으로 왜곡했다”며 반발했습니다.
🛡️ 6. 외교적 후폭풍
전문가들은 이번 트럼프 트루스소셜 발언이 동맹 신뢰에 미세한 균열을 낼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동시에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퍼질 위험”을 지적했습니다.
💻 7. SNS 확산 구조
X(옛 트위터)·페이스북·레딧 등에서 관련 게시물의 1차 전파가 30분 만에 10만 건을 넘겼습니다. 트럼프 팔로어들의 ReTruth 재게시 기능이 핵심 기폭제 역할을 했습니다.
🔎 8. 국내 정치적 파장
야권 일부는 트럼프 발언을 고리로 “정부가 국제 신뢰를 잃었다”고 공격했습니다. 여권은 “사실관계 왜곡”이라며 반박했습니다.
📜 9. 과거 사례와 비교
2018년 북미정상회담 직전,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회담 취소 가능성을 시사하며 협상 지렛대로 활용했습니다. 이번 트루스소셜 글 역시 유사한 전술로 보입니다.
🌐 10. 국제사회 반응
EU 외교부는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짤막한 논평을 냈습니다. 일본 언론은 “외교 의제로 경제 카드가 급부상했다”고 분석했습니다.
📝 11. 향후 시나리오
① 정상회담에서 해명→발언 수습, ② 트럼프 추가 글 게시→파장 확대, ③ 의회·기업·시장 압박 가속 등 세 갈래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
사진 출처: 뉴스이스(Newsis)
사진 출처: 중앙일보
🔚 12. 결론
이번 트럼프 트루스소셜 발언은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를 넘어 양국 경제·외교·여론에 복합적 파장을 던졌습니다. 향후 트럼프의 추가 메시지와 백악관 회담 결과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는 관련 후속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