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정성호 법무부 장관이 다시 한 번 검찰개혁의 불씨를 지폈습니다.


27일 새벽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된 입장에서 그는 “수사·기소는 반드시 분리돼야 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정성호 장관은 여권이 추진 중인 ‘검찰청 폐지·중수청 신설안’에 대해 신중론을 폈습니다.

정성호 장관
사진=조선일보 ⓒchosun.com

그는 “검찰이 직접 수사권을 계속 보유하는 것은 국민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라며 🔍 문제점을 짚었습니다.

이어 “1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둘 경우 권한 집중을 어떻게 통제할지 고민해야 한다”2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발언은 지난 26일 중앙일보가 단독 보도한 ‘검찰청 이원화(수사청·공소청)’ 구상과도 맥을 같이합니다.

수사 역량은 유지하되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는 길을 찾아야 합니다.” – 정성호 장관

전문가들은 장관의 구상을 ‘차선의 현실적 대안’으로 평가합니다.

이원화 구상
사진=중앙일보 ⓒjoongang.co.kr

대한변협 형사법위원회 관계자는 “수사·기소 분리 자체는 시대적 과제”라면서도 “기관 간 견제·균형 장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치권도 술렁입니다. 여당은 “속도전은 불가피”라며 반박했고, 야당은 “장관 제안이 갈등 완화의 출구”라고 환영했습니다.

법조계에서는 ‘검찰공화국’ 탈피라는 대의가 실현되려면 사법경찰·감사원·금융당국 등 기존 수사 주체와의 역할 조정이 핵심이라고 봅니다.

국민 여론도 뜨겁습니다. 지난주 MBC 여론조사에 따르면 ‘수사·기소 분리’ 찬성은 63.4%, 반대는 28.7%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장관은 국회 예결위에서 “윤 전 대통령 구치소 CCTV 공개는 사생활·수사기밀 문제로 곤란”하다고 밝혀 또 다른 쟁점도 남겼습니다.

🚦 향후 관전 포인트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입법 로드맵 — 여야가 합의 가능한 중수청 설계안 도출 여부
  2. 헌법적 검증 — 수사기관 분리와 기본권 보장의 균형
  3. 국민 체감도 — 부패·중대범죄 수사 공백을 최소화할 대안 마련

🗂️ 라이브이슈KR정성호 장관의 추가 입장과 국회 논의 과정을 계속 추적 보도하겠습니다.


©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