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조원동 피자집에서 벌어진 칼부림 사건이 관악구 일대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사건 현장 사진

사진=중앙일보 캡처

경찰에 따르면 3일 오전 10시 57분 서울 관악구 조원동의 한 프랜차이즈 피자 매장에서 흉기 난동이 발생해 본사 관계자 2명과 인테리어 업체 직원 1명이 현장에서 숨졌습니다. 가게 사장으로 지목된 40대 남성 A씨는 범행 직후 자해해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살려주세요, 칼에 찔렸어요!”라는 긴급 신고가 접수된 뒤 불과 7분 만에 순찰차가 도착했지만, 이미 현장은 아수라장이었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인테리어 리뉴얼 비용이었습니다. 본사 측은 계약 5년차마다 의무 리뉴얼을 요구했고, A씨는 “견적이 과도하다”며 반발해 왔습니다.

“본사 지정 업체만 쓰도록 강요받았다” – A씨 친구 증언

경찰 통제선

사진=한겨레 제공

이날 본사 임원단과 인테리어 업체 팀장은 갈등 중재를 위해 매장을 찾았으나, 대화 도중 A씨가 주방에 보관 중이던 30cm 조리용 칼을 집어 들면서 참극이 벌어졌습니다.

현장 목격자들은 “피자가게에서 비명과 유리 깨지는 소리가 연달아 들렸다”고 전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들은 방어 흔적 없이 급소를 다수 찔린 상태였다”며 계획 범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본사 갑질’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가맹점주협회 김도현 회장은 “조원동 피자 사건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가맹점주의 고충을 토로했습니다.

소비자는 “저렴한 창업”을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물류 마진·광고 분담금·리뉴얼 의무 등으로 부담이 불어나는 구조입니다. 전문가들은 “본사가 리스크를 가맹점주에게 전가하면서 갈등이 빈번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경찰은 디지털 포렌식을 통해 A씨의 휴대전화, 노트북 메신저 기록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리뉴얼 견적서와 본사 공지문을 확보해 협박·강요 정황이 있었는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리뉴얼은 권고 사항일 뿐 강제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러나 업계 내부에서는 “리뉴얼 거부 시 공급가 인상·메뉴 제한” 같은 간접 제재가 작동했다고 주장합니다.

법조계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가맹사업거래법 개정 논의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임세진 변호사는 “분쟁 조정 의무화 조항을 신설해 갈등을 사전에 중재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현재 관악구청은 피해자 유가족에게 긴급 생계비심리 상담을 지원하고, 조원동 상가 전체에 CCTV 사각지대를 점검 중입니다. 지역 상인회도 ‘안전 순찰 봉사대’를 꾸려 야간 순회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사건을 지켜본 주민 김은선 씨(62)는 “조원동 피자집이 가족 단위 손님이 많아 아이들과 자주 갔던 곳이었는데, 믿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전문가들은 “프랜차이즈·자영업 생태계가 상생 구조로 바뀌지 않는 한, 유사 사건이 반복될 우려가 크다”고 경고합니다.

경찰은 A씨의 상태가 호전되는 대로 살인·살인미수 혐의로 영장을 신청할 방침입니다. 수사 결과에 따라 본사의 과실 여부도 함께 규명될 전망입니다.


이번 조원동 피자 참극은 단순한 개인 범죄로 치부하기엔 위험 신호가 너무도 분명합니다. “상생 없는 프랜차이즈는 폭발물을 쥔 것과 같다.” 업계와 당국, 그리고 소비자 모두가 다시 한 번 가맹 시스템의 근본을 돌아봐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