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최강욱이 공직선거법 위반 항소심에서도 유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재판부는 선거기간 허위사실 공표 혐의가 ‘중대하다’며 1심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최강욱은 당선무효형을 확인받았고, 피선거권 박탈이 현실화됐습니다.
ⓒ 위키미디어
이번 판결은 2020년 총선 당시 ‘조국 전 장관 아들 인턴 확인서 의혹’을 두고 나온 발언이 쟁점이었습니다.
“강요에 의해 기소됐고, 재판부 판단을 이해하기 어렵다.” – 최강욱 항소심 선고 직후 발언
정치권은 즉각 술렁였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당 차원의 법적‧정치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❶ 법적 쟁점에서는 허위사실 인식 여부가 핵심이었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사실관계를 충분히 알 수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❷ 정치적 파장도 큽니다. 야권 일각에서는 “현역 의원 신분이 아니더라도 당 이미지 타격”을 우려합니다.
❸ 차기 총선 출마 가능성은? 5년 간 피선거권 제한이 확정되면 2028년 이전 도전이 불가능합니다.
▶ 향후 시나리오
1) 대법원 상고 : 이미 의사를 밝힌 만큼 최종심까지 법적 다툼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2) 무소속 행보 또는 신당 합류 : 최근 ‘조국혁신당’ 창당 논의와 맞물리며 다양한 추측이 나옵니다.
3) 미디어 활동 확대 : 유튜브·라디오 출연이 늘며 ‘정치 평론가’로 서는 그림도 거론됩니다.
📊 여론은 갈렸습니다. SNS 상에서는 “정치적 탄압”과 “사법 정의 실현”이 공존했습니다.
ⓒ JTV뉴스/YouTube 캡처
특히 Twitter(X)에서는 ‘탈당 요구’와 ‘응원 해시태그’가 동시에 트렌드를 형성했습니다.
🗂️ 사건 일지
• 2020.04.15 – 21대 총선 당선
• 2020.08 – 허위사실 공표 혐의 기소
• 2022.01 – 1심 징역 8개월·집행유예 2년 선고(의원직 상실)
• 2025.09 – 2심 원심 유지
전문가들은 “정치적 상징성 ↔ 법적 책임”의 충돌을 지적합니다. ‘사법 리스크’ 관리가 야권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채널A 화면 캡처
반면 여권은 “사법부 판단 존중”을 강조하며 민주당 내내 자성을 촉구했습니다.
📌 핵심 키워드 정리
- 최강욱 선거법
- 허위사실 공표
- 항소심 유죄
- 피선거권 박탈
- 야권 리스크
결국 최강욱의 향후 선택은 야권 재편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대법원 판결까지 남은 시간, 정치권의 긴장은 계속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