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남경민 수사관과 ‘관봉권 띠지’ 사건의 전모


남경민 수사관이 국회 법사위 청문회에 소환되면서 사건의 실체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번 청문회는 5000만 원권 관봉 현금띠지 훼손·분실 경위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 남경민 수사관은 서울남부지검 압수계에서 현금 증거물을 담당했던 실무자였습니다. 압수물 인계·보관 절차의 마지막 고리라는 점에서 증거 훼손 책임론의 중심에 섰습니다.

🗂️ 사건의 발단은 ‘건진법사’ 전성배 씨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된 관봉권 띠지사라졌다는 보고였습니다. 띠지가 제거된 50만 원권 묶음은 현금 흐름 추적의 핵심 단서였기에 파장이 컸습니다.

검찰은 “보관 중 자연 손상”이라고 설명했으나, 국회·언론·시민단체증거인멸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이 논란을 키웠습니다.


📸 남경민 수사관 청문회 장면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청문회 도중 휴대전화 사용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김용민 의원은 “책상 밑에 숨긴 모범답안을 보는 것 아니냐”라며 즉각 휴대폰을 내려놓으라고 요구했습니다.

“국민 앞에서 진실을 가리자는 자리에서 사전 각본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 김용민 의원

이어 ‘모범답안지’ 논란이 터졌습니다. 김정민 수사관과 남경민 수사관이 질의 예상 답변서를 공유했다는 증언이 나오며, 입맞춤 진술 의혹이 증폭됐습니다.

장경태 의원은 두 사람이 사용한 문서에 같은 이모티콘·형식이 반복된 점을 들어 “사전 모의가 명백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남경민 수사관은 “절차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논쟁은 비속어 메모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공개된 서류에는 “남들 다 폐기해 XX들아”라는 문구가 적혀 있어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증거 보존 규정 미준수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합니다. 검찰 예규 제530호에 따르면, 띠지처럼 진품 확인이 가능한 포장 요소도 증거물 일부로 분류돼야 합니다.

또한 대검이 직접 감찰·수사를 병행하는 현 상황에 대해 “제 식구 감싸기 우려”가 제기됩니다. 일각에서는 특임검사 혹은 국회 국정조사 필요성도 거론됩니다.


⚖️ 정치권은 검찰개혁 프레임과 맞물려 첨예하게 대립했습니다. 여당은 “단순 실무 착오”라고 선을 그었고, 야당은 “권력형 증거인멸”이라며 도덕성 공격에 나섰습니다.

법조계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립니다. 한 부장판사는 “전자기록·CCTV 확보 없이 실무자 징계에만 매달리면 진실 규명이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향후 수사는 포렌식 재감정관계자 추가 소환이 관건입니다. 최재영 검사·최선영 계장 등 윗선 보고 체계도 조사 대상에 오를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국민 신뢰 회복이 절실합니다. 검찰은 증거물 관리 전산화·블록체인 시점기록 등 재발 방지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정리하면, 남경민 수사관은 ‘관봉권 띠지’ 실종의 핵심 열쇠이자 검찰 조직 문화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사건의 향배는 투명한 조사제도 개선에 달려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청문회 일정·수사 결과·법원 판단을 지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신속히 전하겠습니다. 🔔

관봉권 띠지 청문회 영상 캡처
이미지 출처: 춘천MBC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