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도서관 죽음이라는 표현이 5일 밤부터 각종 커뮤니티와 메시지앱을 통해 급속히 퍼지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해당 내용은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허위‧오보입니다.
1. 최초 유포 경로
복수의 IT 보안업계 관계자는 “익명 게시판과 단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처음 캡처 이미지가 돌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6일 오전 라이브이슈KR에 밝혔습니다.
해당 캡처에는 ‘OO신문 속보: 유명 유튜버 대도서관 자택서 사망’이라는 제목이 담겨 있었으나, 실제 기사 링크를 눌러보면 404 오류가 뜨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는 URL이었습니다.
“링크가 깨져 있고 정식 언론사 형식도 아니었습니다. 누군가 이미지를 합성해 유포한 전형적 디지털 스푸핑 사례입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허위정보대응팀
2. 대도서관 측 공식 입장
대도서관(본명 나동현) 소속사인 샌드박스네트워크는 6일 낮 12시 보도자료를 통해 “대도서관 죽음 관련 소문은 사실무근”이라며 “현재 당사 크리에이터는 평소와 다름없이 콘텐츠 제작에 매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도서관 역시 오후 2시경 자신의 X(옛 트위터) 계정에 “저 살아 있습니다😅 오늘 밤 8시에 생방송에서 뵙겠습니다”라는 글과 함께 근황 사진을 올렸습니다.
출처: 대도서관 X 캡처
3. 루머가 확산된 사회적 배경
콘텐츠 산업 전문가들은 ‘크리에이터 피로감’과 ‘알고리즘 바이럴’을 지목합니다.
최근 인기 스트리머가 잇따라 휴식 또는 은퇴를 선언하면서 ‘연예인처럼 소문이 먼저 퍼지는’ 현상이 가속화됐습니다.
또한 SNS 플랫폼은 ‘자극적인 키워드’에 가산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대도서관 사망 루머 같은 극단적 표현이 빠르게 노출됩니다.
4. 허위정보 판별 3단계 체크리스트
① 출처 확인 — 언론사 도메인·기자명·기사번호 존재 여부를 살펴봅니다.
② 팩트 교차검증 — 같은 내용을 최소 2개 이상 주요 언론에서 다뤘는지 확인합니다.
③ 시간 확인 — 캡처 화면에 적힌 업로드 시간이 실제 서버시간과 일치하는지 비교합니다.
5. 온라인 명예훼손 책임
정보통신망법 제70조는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시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조계는 “특정인의 사망 여부를 허위로 퍼뜨리는 행위는 형사처벌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합니다.
6. 커뮤니티 자정 노력
대형 커뮤니티 아카라이브, 디시인사이드 등은 ‘대도서관 죽음’ 키워드가 포함된 게시글을 모니터링하며, 사실 확인이 안 된 글을 즉시 블라인드 처리했습니다.
유튜브 역시 ‘허위 의료·사망 정보’ 관련 가이드라인으로 해당 영상을 차단하거나 광고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7. 전문가 진단
강정수 디지털 정책학 박사는 “대도서관 사망 루머는 딥페이크 이미지가 없이도 단순 텍스트와 캡처만으로 빚어진 대표 사례”라며 “이젠 이용자 스스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갖추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8. 플랫폼 책임 논란
플랫폼 기업들은 ‘즉각 삭제’와 ‘표현의 자유’ 사이에서 고민합니다.
법원은 2024년 ‘황OO 검사 사망설’ 사건에서 “명백한 허위사실은 신속히 제거하라”고 판결, 플랫폼의 사전조치 의무를 일부 인정했습니다.
9. 해외 크리에이터와 비교
PewDiePie·MrBeast 등 글로벌 스타 역시 사망 루머에 시달렸습니다.
서구권에서는 유튜브가 ‘Rest in Peace Hoax’ 필터를 추가 도입해 알고리즘 노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10. 마무리
이번 대도서관 죽음 루머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얼마나 빠르게 번질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독자는 출처 확인과 팩트 체크를 생활화해야 하며, 플랫폼·정부·이용자가 함께 건강한 정보 생태계를 지켜나가야 합니다.
대도서관은 오늘(6일) 오후 8시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팬들과 직접 소통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