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대중문화교류위원장 자리에 가수 겸 프로듀서 박진영이 오르면서 K-팝을 넘어선 문화외교 전략이 새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대통령실은 9일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신설과 함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박진영공동위원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위원회는 국내외 대중문화 교류 확대, 산업 경쟁력 강화, 문화다양성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박진영 위원장 내정 발표 현장
사진=중앙일보 제공

박 위원장은 1994년 데뷔 후 JYP엔터테인먼트를 글로벌 3대 K-팝 레이블로 키운 인물입니다. 업계 경험과 글로벌 네트워크가 정부 정책과 결합해 민·관 협력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K-팝이 맞이한 특별한 기회를 살려 세계인이 즐기는 문화 생태계를 만들겠다” ― 박진영 위원장 내정자

위원회는 정책 기획·해외 교류·산업 지원 3개 분과로 출범하며, 방송·영화·게임·웹툰 대표 민간위원도 합류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비자 절차 간소화, 콘텐츠 투자 세제 개선, 중소 기획사 해외 진출 지원 등을 핵심 과제로 꼽습니다.

청와대 브리핑 모습
사진=동아일보 제공

업계 반응은 대체로 환영이지만, 상업성과 공공성의 균형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제기됩니다. 특히 인디·전통예술계는 의사 결정 구조에 대한 포용을 강조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위원회가 문화 ODA글로벌 페스티벌 유치 등도 논의할 것”이라며 국제협력 채널 확장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인사는 한·중·일 문화 교류 재가동신흥시장(동남아·중동) 진출 전략과 맞물려 있습니다.

또한 방탄소년단(BTS) 입대를 계기로 K-팝 공백을 메우기 위한 차세대 도약 카드로도 평가됩니다.

“공공정책과 시장 흐름이 같은 방향을 바라볼 시점” ― 문화산업학회 정은영 교수

🎵 위원회는 오는 11월 첫 전체회의를 열고 3개년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입니다. 콘텐츠 IP 수출액 250억 달러 달성이 목표입니다.

해외 팬들과 K-팝 콘서트
사진=연합뉴스 제공

하지만 법적 근거를 담은 특별법 제정, 민간위원 선임 기준, 예산 확보 등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내년 초 대중문화교류펀드를 조성해 스타트업·인디 아티스트를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결국 대중문화교류위원장 박진영의 역할은 ‘스타 프로듀서’에서 ‘문화외교 사령탑’으로 확장됩니다. 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그리는 K-컬처 2.0 청사진이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