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대통령실은 9일 브리핑을 통해 박진영 JYP엔터테인먼트 대표 프로듀서를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장관급 공동위원장으로 내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함께 위원회를 이끌게 된 박 공동위원장은 K-팝 세계화를 주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 외교의 최전선에 서게 됐습니다.

박진영 위원장 내정 브리핑 현장사진=머니투데이

위원회는 ‘문화 5대 강국’ 국정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신설되는 최초의 대통령 직속 문화정책 컨트롤타워입니다.

박 위원장은 내정 직후 “후배 아티스트와 전 세계 팬들이 함께 성장하는 K-컬처 생태계를 만들겠다”면서 책임감과 포부를 동시에 드러냈습니다.


1994년 데뷔 가수에서 글로벌 기획사 JYP 창업자로 변신한 그는, 원더걸스·트와이스·스트레이키즈 등 다수의 K-팝 대표 그룹을 배출하며 ‘한류 3세대’를 개척했습니다.

특히 미국 빌보드 진출 전략, 동남아시아 로컬 트레이닝 모델 등 해외 시장 맞춤형 사업 경험이 풍부해 위원회 운영에 실무적 강점이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문화 교류는 일방적 수출이 아니라 상호 존중의 가교입니다.” — 박진영 내정자

위원회는 ▲해외 공연·전시 공공 플랫폼 구축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온·오프라인 교류 펀드 조성 등 총 7대 과제를 연내 확정할 계획입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장관급 공인이 된 현역 프로듀서의 정책 참여가 산업-정부 간 긴밀한 소통을 촉진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반면 일각에서는 민간 기획사 대표의 공적 직책 수행이 이해 충돌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위원회는 예산·사업 결정을 민·관 합동 심의체가 담당해 투명성을 담보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신설 발표 장면사진=중앙일보

증권가에서는 “JYP 주가가 문화외교 시너지 기대감으로 단기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목표가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문화계 원로들은 “산업현장 실무자정책 관료공동 수장 체제를 꾸리는 것은 국내 최초”라며 ‘전환기적 실험’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10월 말 출범식을 열고, 오는 12월 뉴욕·파리·자카르타를 잇는 ‘K-컬처 로드쇼’를 첫 공식 행사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또한 위원회 직속 산업·학계 자문단을 구성해 음악·영화·게임·웹툰 등 멀티 콘텐츠 전략을 통합 설계한다는 방침입니다.

박진영 내정 소감 인터뷰사진=한국경제

이 같은 범정부 문화교류 정책은 2003년 문화콘텐츠진흥원 설립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조직 개편으로 평가받습니다.

전문가들은 “콘텐츠 수출액이 2024년 140억 달러를 돌파한 시점에, 정책-산업-글로벌 현장을 한데 묶는 ‘허브’가 생겼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정무적 절차에 따라 국무회의 보고, 대통령 재가를 거친 뒤 박진영 장관급 공동위원장은 이달 중 임기를 시작합니다.

문화계와 정치권 모두 “K-팝을 넘어 K-라이프스타일”로 확장될 대한민국 문화 외교의 향방을 주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