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과기대라는 이름은 이제 첨단 산업 현장과 캠퍼스를 동시에 떠올리게 합니다.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 세간의 주목을 받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디지털 전환으로 촉발된 신산업 인력 수요가 폭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이하 서울과기대)는 최근 공지사항을 통해 2025학년도 2학기 겸임‧강사 공개채용 일정을 예고했습니다1. 현장 전문가를 대거 확보해 실무형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입니다.


🔬 서울과기대 채용정보 게시판에는 연구·행정·엔지니어링 직군 모집 공고가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는 캠퍼스 R&D 성장세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경
사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제공

💼 한편 취업진로본부(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AI 기반 맞춤형 상담을 실시해 재학생이 졸업 전부터 포트폴리오를 완비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이하 경기과기대) 역시 친환경자동차소재부품기술지원센터 직원 모집 공고를 발표했습니다. 전기차·수소차 시대를 대비한 실험실–산업체 연계를 강화하는 행보입니다.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실습동
사진=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제공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들은 지역 보건소와 협력해 의료 봉사 프로그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실습과 봉사를 동시에 수행해 현장 적응력을 끌어올린다는 취지입니다.

🌏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여성리더대학 11기는 베트남 고아원에서 해외 봉사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과 리더십 교육이 결합된 사례입니다.


과기대의 국제 경쟁력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홍콩과학기술대학교(HKUST)는 QS 세계대학평가에서 아시아 최상위권을 유지하며 글로벌 산학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기술 개발뿐 아니라 지역사회 혁신 생태계의 허브가 돼야 한다.” — 김연수 서울과기대 산학협력단장 인터뷰 중

📊 국내 과기대 입시 경쟁률은 AI·데이터사이언스,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전략 학과를 중심으로 2024학년도 대비 평균 1.3배 상승했습니다.

🤝 산업계 평판 역시 긍정적입니다. 삼성전자·LG에너지솔루션·현대오토에버 등 대기업은 ‘실무 적응도가 높다’는 이유로 과기대 출신 채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힘을 보탭니다. 교육부는 ‘첨단분야 혁신인재 양성 사업’을 통해 2028년까지 과기대에 총 7,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이는 학사–석사 연계 트랙과 산학 프로젝트 실습비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결론적으로, 과기대는 산업 지형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융합형 인재를 꾸준히 배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들 대학이 기술 혁신의 전진 기지로서 어떤 성과를 낼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공지사항, 2025.09.11.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