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팩트 뮤직 어워즈(THE FACT MUSIC AWARDS, TMA)가 2025년 9월 20일 마카오 아웃도어 퍼포먼스 베뉴에서 성대하게 개최됐습니다.
이번 시상식은 ‘Shining for Artists, Exciting for Fans’ 슬로건처럼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빛나는 무대를 완성했습니다.
개최지인 마카오는 관광·문화 인프라를 갖춘 도시로, K-POP 글로벌 허브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TMA 조직위원회
레드카펫은 오후 5시(한국시간 기준) 시작돼 화려한 드레스와 스타일링으로 이목을 끌었으며, 본 시상식은 오후 8시부터 약 3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
1. 수상 결과 하이라이트
• Artist of the Year – aespa
• Fan N Star Choice(솔로) – JIN(BTS)
• Fan N Star Choice(그룹) – PLAVE
특히 스트레이 키즈는 TMA 인기상과 함께 2관왕에 오르며 글로벌 인기를 재확인했습니다.
2. 리미티드 스테이지, 오직 TMA에서
아이브 이서·엔믹스 규진의 합동 무대, 제로베이스원 장하오·리키의 스페셜 퍼포먼스 등 ‘원앤온리(One & Only)’ 순간이 관객을 열광시켰습니다.
3. ‘마카오 개최’가 갖는 의미
아시아 양대 엔터 메카인 서울·도쿄를 넘어 마카오에 무대를 옮긴 것은 K-POP 확장 전략의 일환입니다.
문화·관광 결합형 이벤트로 현지 경제 파급 효과도 컸습니다.
4. 온라인 스트리밍과 실시간 인터랙션
네이버 NOW.를 통한 국내 독점 생중계와 YouTube·Weverse 동시 송출로 실시간 글로벌 동시접속 250만 명*추정을 기록했습니다.
해시태그 #TMA·#더팩트뮤직어워즈는 X(구 트위터) 전 세계 트렌드 1위를 장시간 점령했습니다.
5. 지속가능 시상식 선언
조직위는 탄소 중립을 목표로 무대 세트 재활용, 디지털 티켓 전면 도입, 현장 일회용품 제로 캠페인을 시행했습니다.
관계자는 “K-POP 행사의 친환경 모델을 구축했다”고 강조했습니다.
6. 팬 경험 극대화를 위한 기술
AR 포토부스·NFT 티켓·메타버스 라운지를 도입해 온·오프라인 융합을 실현했습니다.
덕분에 해외 팬도 실시간으로 버추얼 레드카펫을 체험했습니다.
7. 경제적 파급력
마카오관광청 추산 직·간접 경제효과 1억 MOP(약 170억 원) 이상이 발생했습니다.
호텔 객실 가동률은 행사 기간 98%를 기록했습니다.
8. K-POP 시상식 트렌드 분석
다양한 팬 참여형 투표 시스템이 공정성과 흥행을 동시에 잡았습니다.
메타버스·AI 아바타 공연은 차세대 시상식 포맷의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9. 앞으로의 과제
조직위원회는 “2026년에는 동남아 순회 개최를 구상 중”이라 밝히며 로컬 팬덤 확대 전략을 예고했습니다.
또한 다언어 실시간 자막 확대를 통해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10. 결론
더팩트 뮤직 어워즈는 단순 시상식을 넘어 글로벌 K-POP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마카오에서 터져 나온 함성은 ‘K-POP 4세대’가 향후 어떤 지평을 열지 분명한 실마리를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