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국민카드가 디지털 금융 중심 카드사로 재도약하고 있습니다. 국민카드는 2025년을 겨냥해 모바일 생태계·ESG·여행·쇼핑 부문을 전면 개편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쇼핑 할인입니다. 최근 공개된 롯데홈쇼핑 최대 7% 청구 할인 이벤트가 대표 사례였습니다. 국민카드는 홈쇼핑뿐 아니라 SSG닷컴·쿠팡·네이버페이와의 제휴도 확대하며 온라인 간편결제 라인업을 강화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KB국민카드 공식 홈페이지
두 번째 키워드는 무이자·캐시백입니다. 카드고릴라·네이버 카드 검색 페이지에 따르면『KB국민카드 무이자 2~5개월』프로모션은 삼성·신한·롯데 등 경쟁사와 유사하거나 더 긴 구간을 제공해 소비자 부담을 낮추고 있습니다.
“고금리 시대, 할부 수수료 인하와 즉시 캐시백은 필수 경쟁력입니다.” — KB국민카드 관계자
세 번째 키워드는 여행·마일리지입니다. 2024년 말 출시된 ‘KB Star ✈️ Mileage’ 시리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포인트 적립률을 최대 2배로 높였고, 라운지·호텔 제휴 혜택도 추가했습니다.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회복되며 이용 건수가 전년 대비 47% 증가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KB국민은행
네 번째로 중소사업자 전용 카드·대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KB사장님+ 마이너스통장’은 가맹점 카드대금을 KB 계좌로 입금받는 조건으로 금리를 추가 우대합니다. 카드 결제·대출·세무 알림이 한 앱에서 연동돼 사업자의 금융 피로도를 크게 줄였습니다.
다섯 번째 포인트는 ESG·친환경 정책입니다. 국민카드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용한 ‘Green Wave’ 시리즈를 출시했고, 탄소배출 저감 활동 실적에 따라 캐시백을 제공해 MZ세대 호응을 끌어냈습니다.
KB Pay 슈퍼앱은 생체 인증·AI 사기 탐지 기술을 탑재해 보안성을 강화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에서는 오프라인 QR결제 기능이 추가돼 QR·바코드·NFC를 모두 지원합니다.
카드 발급 과정도 완전히 모바일화했습니다. 신분증 QR 인증, 무서류 소득 조회 덕분에 평균 발급 시간이 4분대로 단축됐습니다. 신규 회원은 첫 달 10만 원 이상 결제 시 1만 포인트리 적립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국민카드 포인트리’는 Pay 결제·카카오모빌리티·G마켓 등 파트너사를 추가해 2만2,000여 가맹점으로 확장됐습니다. 포인트 전환·현금 캐시백·자동 투자 등 활용 폭이 넓어졌습니다.
소비 쿠폰·정부 지원금 결제처로도 각광받습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중교통 환급제 등 정책 지원금이 국민카드로 집중되면서 사용량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국민카드는 2025년 BNPL(선구매 후결제) 서비스를 출시해 Z세대를 공략할 계획도 밝혔습니다. 애플페이 도입 가능성에 대해선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으며, 실제 상용화 시 고객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입니다.
전문가 시각
“국민카드는 ‘결제→자산관리→투자’ 전 과정을 한 번에 해결하는 ‘올인원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 — 한양대 디지털금융연구소 박진우 교수
마지막으로 국민카드 혜택을 극대화하려면 ① 제휴 쇼핑몰 주말 할인 캘린더 확인, ② 포인트리 자동이체 설정, ③ 무이자 구간과 캐시백 이벤트를 병행하는 ‘더블 스택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 앞으로 국민카드는 금융·생활·레저를 통합하는 초개인화 서비스를 예고했습니다. 새로운 카드 설계와 디지털 혁신이 일상 금융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