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29일부터 중국인 무비자 입국 제도이 본격 시행됩니다. 3인 이상 단체 관광객은 최대 15일 동안 사전 비자 없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법무부·외교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침체됐던 방한 수요를 회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 면세·유통업계는 벌써부터 ‘유커(遊客)’ 맞이에 분주합니다. 롯데·신라·신세계 등 주요 면세점은 추가 할인과 특가 기획전을 연이어 발표했습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공항 면세점 매출은 2조 1,459억 원으로 2년 새 3.5배 급증했습니다. 업계는 “중국인 무비자가 매출 성장세를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인천공항 면세점에 늘어선 중국 단체관광객
ⓒ 이코노미스트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은 올해 추가로 100만 명 이상의 중국인 방문객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016년 800만 명에 달했던 중국 관광객은 사드 여파와 팬데믹으로 급감했지만, 이제 반등 기로에 섰습니다.

정부는 내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제도를 운영해 효과를 평가한 뒤 연장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비자 장벽이 낮아지면 항공·숙박·외식 등 전 산업의 파급효과가 커집니다.” — 김남호 한국관광학회 회장

하지만 일부에서는 보안 공백 우려도 제기합니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가 “중국인 무비자 시행을 앞둔 시점”과 맞물리며 논란이 일었습니다.


정부는 전자여행허가제(ETA)를 통해 관광객 정보를 사전 수집하고, AI 기반 위험 분석 시스템으로 범죄·불법체류 가능성을 선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기존 30일 무비자 정책을 유지하며, 배편·항공편을 증편해 ‘섬 전체가 면세점’이라는 관광 마케팅을 강화합니다.

면세점 앞 중국 관광객 대기 모습
ⓒ 투데이신문

서울·부산·전주 등 지방자치단체도 중국어 전용 안내 센터, 심야 버스 확충, 알리페이·위챗페이 결제망 확대 등 서비스 개선에 나섰습니다.

호텔·항공사는 좌석·객실 공급을 늘리고, K-컬처·의료관광·MICE 전용 상품을 출시해 “체류형 소비”를 유도합니다.


그러나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우려도 큽니다. 전문가들은 “관광객 급증이 지역 주민 삶의 질을 해치지 않도록 분산형 관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지속가능 경영 연구원은 “중국인 무비자 정책으로 발생할 폐기물·수자원 부담을 친환경 가이드라인으로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끝으로, 정책 성공 여부는 균형 잡힌 관리 대책에 달렸습니다. 유커 귀환이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되, 사회적 갈등과 환경 부담을 줄이려면 정부·산업계·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