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 제도가 29일 0시부터 시행됐습니다.
최대 15일 체류가 가능해지면서 관광·유통업계는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첫날 풍경은 숫자로도 확인됩니다. 인천항에는 2 천 7백여 명을 실은 10만 톤급 크루즈선이 입항했고, 서울 명동·경복궁 일대는 오전부터 ‘황금연휴’를 맞은 중국인 여행객들로 북적였습니다.
한국관광공사는 ※이번 조치로 100만 명 이상의 추가 방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호텔 예약률이 국경절 주간에만 20%p 상승했습니다.” — 업계 관계자
신세계·롯데·현대 등 주요 백화점은 ‘위챗페이·알리페이 10% 즉시 할인’ 이벤트를 긴급 편성했습니다.
그러나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안전 우려도 제기됩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산 복구가 완전하지 않다”며 중국인 무비자 입국 연기를 촉구했습니다.
반면 법무부는 “출입국 시스템은 별도 망으로 운영돼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여의도에서는 보수 단체가 ‘反中 시위’를 열어 범죄·전염병 가능성을 주장했고, 이에 대해 여당·야당 일각에서는 “근거 없는 혐오 조장”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경제 효과와 리스크는 엇갈립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중국인 소비가 7 조 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지만, 경찰청은 “유흥·불법 도박 등 특정 범죄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관광공사는 1단체 버스 GPS 의무 등록, 2가이드 실명제, 3비상 연락망 구축 등 ‘3중 안전망’을 가동했습니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공항·항만 발열 감시를 평소 대비 30% 확대해 전염병 유입 가능성을 낮추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한중 관계 회복의 시험대’로 평가합니다.
성균관대 정외과 김혜진 교수는 “중국인 관광객이 돌아오면 지방 소상공인까지 혜택이 퍼질 것”이라면서도 “문화·보안 이슈를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실제로 제주도는 ‘스마트 입도 시스템’을 선보였고, 부산시는 해양경찰·관광경찰 합동 순찰을 강화했습니다.
▲ 사진 = MBC 뉴스 캡처
이제 관심은 국경절(10월 1~7일) 동안 실제 입국 규모와 소비 패턴에 쏠립니다.
관광업계는 “럭셔리·K-컬처 투어 상품이 인기”라고 밝히며, 중소 식당·면세점도 추가 인력을 채용했습니다.
반면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장기매매’·‘인신매매’ 같은 괴담이 확산되고 있어, 정부는 허위정보 대응팀을 운영 중입니다.
관전 포인트 3가지
첫째, 9개월 한시 조치가 상설 제도로 자리 잡을지 여부입니다.
둘째, 중국인 소비가 관광산업만이 아닌 게임·콘텐츠·부동산까지 확장될 가능성입니다.
셋째, 국내 여론이 ‘경제 효과’와 ‘안보 리스크’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찾느냐가 핵심입니다.
🛎️ 라이브이슈KR가 취재한 결과, 정부·업계·지역사회 모두 ‘신호와 소음’을 가려내는 정교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향후 중국인 무비자 입국 정책이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