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미국 government shutdown 가능성이 시계제로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연방정부 셧다운12개 세출법안이 제때 통과되지 않을 때 자동 발동되는 예산 공백 사태를 뜻합니다.

현지시간 9월 30일 자정을 기점으로 ‘필수 서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행정 기능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고 의회예산국(CBO)은 경고했습니다.


미 의회 전경
출처: CBS News

바이든 행정부와 공화당 하원 지도부 간 예산안 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으면서 government shutdown 키워드는 전 세계 증시와 외환시장의 핫이슈로 부상했습니다.


“셧다운이 닷새만 지속돼도 미국 GDP가 0.2%포인트 감소할 것”1 — 골드만삭스 경제 보고서 인용

과거 사례를 보면 2018~2019년 34일 최장 셧다운 당시 연방 공무원 80만 명이 급여를 받지 못해 소비가 급감했습니다.

이번에도 공항 보안검색·국립공원·여권 발급 등 일상 서비스가 차질을 빚을 전망입니다.

특히 조지아주·버지니아주 등 연방 공무원 밀집 지역은 임시 해고(furlough)로 지역 소상공인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예산 협상 이미지
출처: Brookings Institution

국제금융시장도 ‘리스크 오프’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뉴욕증시에서는 government shutdown 공포가 번지며 S&P500이 장중 2% 하락했고, 안전자산인 달러 인덱스는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한국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교민 사회도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영주권⋅비자 업무가 지연되면 유학생(SEVIS)·취업이민 대기자 모두 일정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또한 IRS 환급·사회보장연금(SSA) 문의 창구가 축소될 가능성이 커 온라인 민원접수를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가들은 “Continuing Resolution(CR) 단기 예산안이 막판 가결될 시 셧다운은 피할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양당 간 이념 대립이 워낙 커 불확실성이 지속됩니다.

만약 셧다운이 현실화될 경우, 우리 기업과 교민이 취해야 할 3단계 대응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금 유동성 확보 – 달러 결제 지연 가능성 대비
  2. 공식 사이트 모니터링usa.gov, travel.state.gov에서 서비스 중단 목록 수시 확인
  3. 위기 커뮤니케이션 구축 – 현지 직원·파트너사에 비상 연락망 가동

정부 셧다운이 장기화되면 연준(Fed)의 통화정책 경로에도 변수로 작용해 11월 FOMC에서도 불확실성 프리미엄이 반영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결정 시 미국 정부 셧다운 리스크를 주요 고려 변수로 삼을 전망입니다.


결국 government shutdown은 단순히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금융·이민 전 영역에 연쇄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과 기업 모두 예산 공백 사태가 빚어낼 파장을 면밀히 살피고,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government shutdown 협상 동향과 실질 대책을 신속히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