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불교 태고종이 정치권을 뒤흔든 ‘3000명 신도 명단’ 의혹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1. 논란의 발단입니다. 국민의힘 진종오 의원은 30일 기자회견에서 “특정 종교단체 신도 3000명의 개인정보가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동원됐다”라고 주장했습니다. 곧장 실명 거론 대상이 태고종으로 좁혀졌습니다.
2. 종단의 즉각 반응입니다. 도성 스님(행정부원장)은 1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명백한 명예훼손”이라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그는 “본 종단은 정치에 개입한 사실이 전혀 없다”라고 못 박았습니다.
“확인되지 않은 발언으로 500만 신도의 명예가 훼손됐다” – 도성 스님 (10월 1일 기자회견)
사진=Unsplash ⓒ CC0
3. ‘3000명 명단’ 녹취의 실체입니다. 진 의원 측이 공개한 녹취에는 ‘종교단체 차원의 조직력’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만, 명단 확보 경위·실제 제출 여부는 불분명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여부도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4. 정치권 공방 격화입니다. 국민의힘은 “정교(政敎)유착”을 부각하며 선관위와 경찰 고발을 예고했고, 민주당은 “허위사실”이라며 역공에 나섰습니다.
5. 헌법과 종교자유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20조는 ‘종교와 정치는 분리’를 명시합니다. 전문가들은 “종교단체가 조직적으로 선거에 개입할 경우 공직선거법 87조 위반 소지가 있다”라고 지적합니다.
6. 태고종은 어떤 종단인가❓ 교구 24개, 사찰 3400여 곳, 출가·재가 합산 신도 수 약 50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조계종에서 분파돼 1970년대 독자 종단 체계를 확립했으며, 유부(有夫)·세속 승려 허용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7. 역사적 배경입니다. 1911년 임제종 전통을 계승해 근현대 불교 자주화 운동의 축을 담당했고, 호국불교와 민족불교 노선을 강조해 왔습니다.
사진=Unsplash ⓒ CC0
8. 종단의 정치적 중립성 선언은 이미 1994년 총무원 규정에 명문화돼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사안을 ‘조직적 선거 개입’으로 단정하기엔 추가 증거가 필요합니다.
9. 개인정보 보호 쟁점입니다. 신도 명부는 ‘특별민감정보’로 분류됩니다. 제3자 제공 시 5년 이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어, 실체가 확인될 경우 파장이 클 전망입니다.
10. 종교계 반향입니다. 조계종‧천태종 등 타 종단도 “종교 전체의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며 사실 규명을 촉구했습니다.
11. 선관위·경찰 수사 전망입니다. 선관위는 “제보가 접수되면 즉시 조사 착수” 원칙을 밝혔고, 경찰도 전담 수사팀을 검토 중입니다.
12. 전문가 시각입니다. 동국대 이○○ 교수는 “정치권이 종교단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는 과거 선거에서도 반복됐다”면서, “투명한 조사만이 오해를 불식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13. 시민이 주목할 점입니다. SNS에 퍼지는 ‘녹취 요약본’ ‘신도 명단’ 캡처 등은 대부분 원문 확인이 어려운 2차 가공 정보입니다. 팩트체크 없이 공유할 경우 허위사실 유포죄에 연루될 수 있습니다.
14. 향후 일정입니다. 태고종은 11월로 예정된 ‘국제대승보살계 수계법회’를 앞두고 종단 이미지 회복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정치권은 국정감사 기간 추가 증인 채택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예고했습니다.
15. 결론입니다. 태고종을 둘러싼 이번 사태는 종교의 자율성과 정치적 책임이 맞물린 복합 이슈로 확산 중입니다. 사실 규명과 법적 판단이 뒤따라야만 종교‧정치‧시민사회의 신뢰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