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media-amazon.comimagesMMV5BZmFhNWY1MjEtZTkyZS00ZWIzLTk4ZWItMDM0MzliNmE1ZGZhXkEyXkFqcGc@._V1_FMjpg_UX1000_.jpg

[라이브이슈KR = 정치부] 🇰🇷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최근 대법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보여준 강경한 질의가 여·야는 물론 사법부까지 흔드는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

이번 국정감사는 조희대 대법원장을 둘러싼 대선 개입 의혹 공세로 초반부터 뜨거웠습니다.

의사봉 두드리는 추미애ⓒ 연합뉴스

국민주권 위에 군림하려는 시도는 용납되지 않습니다.” — 추미애 위원장

추미애 위원장은 의사진행 발언에서 “대법원장조차 국회에 성실히 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희대 대법원장은 “법관은 판결로 말한다“며 구체적 답변을 피했고, 양측의 긴장감은 고조됐습니다.

천대엽 행정처장 발언 장면ⓒ 한국경제 제공

천대엽 법원행정처장까지 가세해 “관례를 이유로 책임을 회피해선 안 된다“고 가세하면서 사법부 내부 목소리도 분열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단체문자를 통해 “무도한 정청래·추미애는 내가 처리하겠다“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사법부 존중 차원에서 조 대법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만 불렀다“며 추미애 위원장의 결정을 옹호했습니다.

조희대 답변 모습ⓒ MBC 뉴스

이번 공방은 사법개혁 키워드를 다시 불러냈습니다. 추미애 위원장은 과거 법무부 장관 시절 추진했던 검찰개혁 경험을 토대로 “사법의 독립은 국민 앞에 투명해야 온전히 지켜진다“고 역설했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각 진영의 결집을 노린 전략적 충돌“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국감장 밖에서도 파열음은 이어졌습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추미애 위원장의 운영 방식에 항의하며 퇴장 소동을 벌였고, 민주당 강경파는 “사법부의 정치화 시도를 방치할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전문가들은권력 분립 원칙을 지키는 동시에, 정치·사법 갈등을 최소화하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향후 국회 추가 청문회가 예고되면서, 추미애 위원장의 리더십과 조희대 대법원장의 대응 전략이 한국 정치 지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전망입니다. ⚖️


사진 출처: 연합뉴스·한국경제·M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