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LG에너지솔루션 주식 373220, 다시 주목받는 이유

국내 배터리 대장주인 LG Energy Solution의 주가가 최근 384,000원 선까지 회복했습니다. 이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본격 시행·북미 ESS(에너지저장장치) 수요 확대에 따른 실적 기대감이 맞물린 결과입니다.


1️⃣ 2025년 3분기 실적 키포인트

“보조금 제외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두 분기 연속 이어졌습니다.”*회사 발표(10월 13일)

3분기 영업이익은 6,0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1% 증가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 5,400억 원 대비 상회


2️⃣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실시간 흐름

LG Energy Solution Logo

출처: Investing.com

  • 전일 대비 +7.22% 상승, 거래대금 상위 5위(넥스트레이드 집계)
  • 52주 저점 266,000원 대비 약 +45% 급반등
  • 베타 1.01, 변동성 3.97%로 코스피 평균 수준

3️⃣ 북미 ESS 사업 확대

미국 조지아주 합작법인(HL-GA) 공장 가동이 2026년 상반기로 앞당겨졌습니다. ESS 전용 라인이 포함돼 고부가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전망입니다. IRA 세액 공제(배터리당 35달러) 적용으로 수익성 개선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전기차 침체 속 LFP·LMR 전략

중국산 LFP 배터리 공세가 심화되자, LG에너지솔루션은 ‘NCM 고니켈+LFP 병행’ 이원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특히 LMR(Li·Mn·Rich) 양극재 개발이 진행 중이며 2027년 양산 목표입니다.


5️⃣ 기관·외국인 수급 동향

구분 지난 5거래일 누적 순매수(주)
외국인 3일 순매수 +84,000
기관 4일 순매수 +112,300

특히 국민연금·블랙록 계열 ETF의 저가 매수 비중이 확대됐습니다.


6️⃣ 밸류에이션 체크

현재 주가 기준 P/E -84배는 단순 비교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IRA 인센티브 제외 실적 기준 2026년 예상 P/E는 22배로 국내 2차전지 대형 3사 평균(26배)보다 낮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7️⃣ 리스크 요인

① 원재료 가격 변동(리튬·니켈) ② 중국 LFP 가격 덤핑 ③ 환율(달러 강세 시 재료비 상승) 등이 단기 리스크로 꼽힙니다. 특히 환율 1% 변동 시 영업이익 ±200억 원 수준의 민감도를 보입니다.


8️⃣ 증권가 목표주가 컨센서스

국내 10개 증권사의 12개월 평균 목표가는 470,000원입니다. 최근 3개월 내 상향 조정 보고서는 7건, 하향은 2건이었습니다.


9️⃣ 개미 투자자 전략 🔍

장기 관점에서는 ESS·원통형 배터리 증설 완료 시점(2026~2027년)을 염두에 둔 DCA(분할 매수) 전략이 권고됩니다. 단기 트레이딩 시 360,000원~370,000원 구간 지지 여부가 관건입니다.


🔟 ESG·수소 연계 성장성

LG에너지솔루션은 RE100 가입과 함께 호주·유럽 재생에너지 PPA를 확대 중입니다. 또한 배터리 폐기물 재활용(리사이클) 사업을 신규 성장 축으로 설정했습니다.


정리 ✍️

북미 ESS 호황·IRA 세액 공제라는 투 트랙 성장 모멘텀이 확인되면서 LG에너지솔루션 주식은 단기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다만 외부 변수(환율·원자재)가 상존하므로 리스크 관리를 병행한 분할 접근이 중요합니다.

배터리 산업은 기술 전환과 정책 변화가 빠른 영역입니다. 향후 LMR·차세대 전고체 기술 로드맵이 실적에 본격 반영되는 2027년 이후가 ‘진정한 실력’이 드러나는 시점이 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