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부동산 규제 움직임이 다시 거세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서울 전역·분당·과천 등을 포함한 새로운 규제지역 지정을 예고하면서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최근 석 달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2.4%1) 상승하며 투기과열지구 재지정 가능성을 높였다고 분석합니다. 여기에 조정대상지역 확대와 토지거래허가구역 신설 논의까지 겹치면서 ‘3번째 부동산 대책’의 윤곽이 드러나는 분위기입니다.


아파트 전경
이미지 출처: Unsplash

🔍 부동산 규제란 과열된 지역의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LTV·DTI·DSR 등 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전매 제한·세제 강화 등 행정적 장치를 가하는 정책입니다. 규제지역이 되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0%·총부채상환비율(DTI) 30% 수준으로 낮아져 투자 레버리지가 급격히 제한됩니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지역 확대는 시장 과열 심리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밝혔습니다.

💡 이번 대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DSR 3단계 적용’입니다. 전세자금대출까지 총부채산정에 포함되면 1주택 보유자가 수도권 규제지역에서 전세를 얻기 위해 추가 대출을 받기 어려워집니다. 이는 전세 시장 안정갭투자 억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 조치로 해석됩니다.


🏦 반면 비규제지역으로 남은 일부 경기·인천 지역은 ‘풍선효과’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두 달 사이 김포·파주·양주 등지의 신고가 거래가 20% 이상 늘어난 이유도 같은 맥락입니다.

부동산 서류와 열쇠
이미지 출처: Unsplash

⚠️ 투자자 유의사항입니다. 첫째, 청약 가점이 낮다면 조정대상지역 청약 경쟁률이 최대 32:12)까지 치솟은 점을 고려해 재무 계획을 재점검해야 합니다. 둘째, DSR 강화로 현금흐름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로 전환하거나 일부 상환을 준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해외 부동산 사례도 참고할 만합니다. 싱가포르는 추가인지세(ABSD)를 통해 다주택자 세율을 60%까지 높여 과열 진압에 성공했습니다. 정부가 이번 대책에서 보유세 인상까지 병행할 경우 싱가포르식 처방이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 정책 일정은 15일 오전 경제장관회의 직후 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공동브리핑으로 발표될 예정입니다. 시장은 발표 당일까지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며, 직후에는 급매물매수세가 일시적으로 동반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 전망은 엇갈립니다. 한국은행 자문위원 박진효 연구원은 “부동산 규제 강도가 예상보다 세면 연내 상승폭이 1%p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반면 민간 연구소 R&H센터는 “공급 부족과 고금리 피로 누적이 겹치면서 2026년 상반기까지는 박스권이 이어질 것”이라 분석했습니다.

체크포인트
세 번째 부동산 대책 핵심: 규제지역 확장·DSR 강화·보유세 조정
• 실수요자는 청약·보금자리론 등 정책 금융 활용 전략 필요
• 투자자는 금리·세제 변동성 대비 유동성 확보 필수


🔚 결론적으로, 부동산 규제지역 확대는 단기적인 시장 냉각 효과를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공급 계획·금리 기조·경제 성장률 같은 거시 변수와 맞물려 움직이므로, 투자·거주 전략을 세울 때는 다층적 분석이 요구됩니다.

라이브이슈KR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